충북의 핵심전략산업인 보건복지분야가 막강한 정치력을 앞세운 경쟁지역의 도전을 받고 있으나 지역 정치권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비난을 사고 있다.
충북도 등에 따르면 국립암센터, 국립노화연구원,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 등 오송에 유치돼야 할 국가연구시설들이 경쟁지역의 정치권이 자신의 지역 유치를 주장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이해봉 의원(대구 달서을)은 지난 13일 국회에서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 업무보고 석상에서 국립암센터 분원이 대구·경북첨복단지에 유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립암센터 분원은 지난 2009년 오송첨복단지 입지 결정 직후 충북도가 유치에 적극 나서왔었다. 그 후 대구가 국립암센터 분원 유치에 뛰어들면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대구는 정치권까지 유치전 지원에 나섰다. 앞서 이 의원은 지난 3월 국회 복건복지위에서 대경첨단의료복합단지 연구 인프라를 위해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건립이 결정된 줄기세포 재생연구센터 건립을 요구했다. 이 의원의 요구에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장은 "현재 진행 중인 연구용역 결과에 의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혀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건립이 결정된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의 충북 입지가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부산과 광주 출신 의원이 관련법을 발의하면서 오송 건립이 확정된 국립노화연구원 지역 유치도 표류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07년 청원군 오송생명과학단지 내에 국립노화연구원 설립을 확정했다. 복지부는 당시 오송단지 내에 3만 6364㎡의 부지에 사업비 76억 원을 투입해 국립노화연구원을 건립하기로 했다. 그러나 일부 지역 국회의원들이 유사 법안을 발의하면서 사업 추진이 수년째 답보상태다. 특히 부산 등 일부 지자체에서 지역국회의원을 앞세워 국립노화연구원 유치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같이 충북이 백년먹을거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보건의료산업분야의 국가연구시설이 경쟁지역의 정치력에 흔들리고 있지만, 지역정치권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핵심현안이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는데도 지역정치권이 무기력증을 보이는 것은 해당 상임위에 지역출신 국회의원이 없는 데 따른 것이다. 도는 지난 2008년 제18대 총선 직후 청주·청원지역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에게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 선정 등을 위해 보건복지위원회에서 활동해줄 것을 주문했으나 거절당했다. 따라서 보건복지위원회에서 경쟁지역의 국회의원들이 자신의 지역구에 국가주요시설 유치 등을 주장해도 대처할 수 없다.
이해봉 의원이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의 대구 건립을 주장하자 충북 출신 국회의원이 없어 민주당의 다른 지역 출신 의원이 이를 제지하고, 상임위에서 진행된 상황을 다른 상임위 소속 같은 당의 지역국회의원에게 전달하는 해프닝을 빚기도 했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국회의원들이 지역의 핵심현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임위보다 힘 있는 상임위를 선호하다 보니 정치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며 “충북은 바이오산업이 핵심전략산업인데도 불구 지역국회의원들이 해당 상임위 활동을 기피하며 표밭만 누비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