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사 허위학력’ ‘이사진 정치성향 분석’ 등 충북문화재단 논란과 관련해 민주당 소속 도의원이 객관적인 검증은 커녕 되레 집행부에 면죄부형태의 해명기회를 줘 의회내부에서조차 빈축을 사는 일이 발생했다.

14일 개회한 충북도의회 제301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행정문화위원회 정지숙(민주당·비례) 의원은 도정질문을 통해 “이사 선임과정에서 후보 성향분석 내부문서 유출과 대표이사의 학력문제가 불거지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데 집행부의 정확한 입장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정 의원은 “강태재 전 대표이사는 민선4기 시절 정우택 지사에 의해 문화재단 자문위원장으로 선임돼 역할을 수행했던 인물인데, 이시종 지사가 대표이사에 임명한 것을 두고 코드인사라 하는 것이 올바른 평가냐”면서 “강 전 대표가 30년 전에 다른 기관에 제출한 학력을 갖고 이번 인사에 논리적 적용을 하는 것이 맞다고 보느냐”고 질문했다. 그는 “강 전 대표이사의 학력기재 과실과 그의 30여년간 경제계와 시민사회에 기여해온 공로 중 어느 쪽이 더 크다고 생각하는지, 지역 문화예술계의 명망있는 강 전 대표이사가 학력문제로 사퇴한 것이 문화예술계와 문화재단에 손실이라고 생각하는지 여부를 말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정렬 도 문화여성환경국장은 “각계 대표로 구성된 이사진은 문화예술에 대한 전문성과 대표성, 헌신성 등을 고루 갖춘 인사들로 최선의 인선”이라며 “코드인사라며 정치적 주장을 하는 것에 대해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민선 4기 때 재단설립 자문위원장을 맡았던 강 전 대표이사를 문화재단 대표이사로 선임한 것이 민선 5기 코드인사라는 것은 전혀 상식에 맞지 않다”면서 “강태재 씨를 배제하고 다른 인물을 임명하는 것이 민선 5기 코드인사 소리를 들을 것 같아 민선 4기 인사의 틀을 계승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국장은 “학력 기재 진위여부가 이번 대표이사 선임과는 무관하며, 이를 연계해 정치적 쟁점으로 비화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 “학력문제와 경제계, 시민단체에 기여한 부분중 어느 쪽이 더 크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는 현명한 도민들의 판단에 맡기는 것이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날 도정질문을 놓고 의회 안팎에서는 충북문화재단 사태의 본질을 외면한 채 집행부와 의원간 짜여진 각본에 따라 일문일답을 주고받는 등 '짜고친 고스톱'에 불과했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았다. 정치성향 파악 문건이 유출된 배경에 대한 집중추궁과 구멍 뚫린 충북도 인사시스템 부재력에 대한 검증은 뒷전인 채, 견제·감시해야 할 도의원이 되레 집행부에 해명기회를 준 꼴이 됐다는 것이다.

한 도의원은 "과연 9대 충북도의회가 도민을 위한 일꾼인지, 집행부의 하수인인지 모르겠다”며 “짜여진 각본대로 묻고 답하는 한편의 콩트를 본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하성진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