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전 대덕구를 중심으로 도시철도와 관련 각종 유언비어가 난무하면서 지역·주민 간 극심한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정작 검찰과 경찰 등 사정기관은 침묵으로 일관, 사회혼란을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4일 지역 정가, 시민·사회단체 등에 따르면 정용기 대전 대덕구청장이 민선4기에 이어 또 다시 ‘대덕구 소외론’을 주장하며,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면서부터 지역 곳곳에 도시철도와 관련한 선정적인 플래카드가 범람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른 내용들이 구전과 구전으로 이어지면서 지역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실제 지역에 유포되고 있는 내용들을 보면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은 국토해양부와 협의된 바도 없고, 언제 될지도 모른다', '국가철도망구축계획 고시 만으로 사업이 확정됐다고 볼 수 없다', '대전을 경유하는 국철은 배차간격이 30분 이상이기 때문에 도시철도 기능을 담당할 수 없다'는 등의 내용이다.
도시철도 2호선 노선에 대해서도 '대전시가 의도적으로 대덕구를 소외시키기 위해 도시철도 2호선 노선을 변경했다', '기존의 노선이 아닌 중리~연축·회덕으로 경유해도 경제성이 충분하다' 등 사실을 왜곡한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문제는 사실과 다른 내용들이 플래카드, 구전 등으로 유포되면서 주민·지역 간 갈등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특정 집단이나 정치세력이 지역 소외론을 주장하며, 사실과 다른 내용들을 호도하고 있지만 이를 막거나 견제할 수 있는 검·경 등 사정기관들은 '공안사건이 아니다'라는 이유로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민들은 “검찰이나 경찰이 극단적인 방법으로 대통령을 비방·비판하면 끝까지 추적해서 검거하는 반면 지역사회를 양분하고, 극도의 혼란 상태를 야기하는 사건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경찰 관계자는 “단순히 진행 중인 현안에 대해 직접 개입을 하는 것은 조금 부적절하다. 법은 모든 사회 갈등요소가 해결되지 않을 때 최후의 수단”이라며 수사 착수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한편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은 지난 2009년 3월부터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시기에 맞춰 대전시가 건의한 사업으로 올 4월 확정·고시된 사업으로 도시철도와 같은 지방사업이 아닌 국가사업인 만큼 사업속도나 국비확보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또 배차간격도 서울~천안을 잇는 경부선 전철이 7.1분(평시, 출퇴근 시 6.0분), 구로~인천을 잇는 경인선 전철이 5.2분, 용산~용문을 잇는 중앙선 전철이 14.6분 등 평균 7~8분대로 대전에 광역철도망이 구축될 경우 수도권전철과 비슷한 수준의 배차가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14일 지역 정가, 시민·사회단체 등에 따르면 정용기 대전 대덕구청장이 민선4기에 이어 또 다시 ‘대덕구 소외론’을 주장하며,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하면서부터 지역 곳곳에 도시철도와 관련한 선정적인 플래카드가 범람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른 내용들이 구전과 구전으로 이어지면서 지역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실제 지역에 유포되고 있는 내용들을 보면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은 국토해양부와 협의된 바도 없고, 언제 될지도 모른다', '국가철도망구축계획 고시 만으로 사업이 확정됐다고 볼 수 없다', '대전을 경유하는 국철은 배차간격이 30분 이상이기 때문에 도시철도 기능을 담당할 수 없다'는 등의 내용이다.
도시철도 2호선 노선에 대해서도 '대전시가 의도적으로 대덕구를 소외시키기 위해 도시철도 2호선 노선을 변경했다', '기존의 노선이 아닌 중리~연축·회덕으로 경유해도 경제성이 충분하다' 등 사실을 왜곡한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문제는 사실과 다른 내용들이 플래카드, 구전 등으로 유포되면서 주민·지역 간 갈등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특정 집단이나 정치세력이 지역 소외론을 주장하며, 사실과 다른 내용들을 호도하고 있지만 이를 막거나 견제할 수 있는 검·경 등 사정기관들은 '공안사건이 아니다'라는 이유로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민들은 “검찰이나 경찰이 극단적인 방법으로 대통령을 비방·비판하면 끝까지 추적해서 검거하는 반면 지역사회를 양분하고, 극도의 혼란 상태를 야기하는 사건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경찰 관계자는 “단순히 진행 중인 현안에 대해 직접 개입을 하는 것은 조금 부적절하다. 법은 모든 사회 갈등요소가 해결되지 않을 때 최후의 수단”이라며 수사 착수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한편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사업은 지난 2009년 3월부터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시기에 맞춰 대전시가 건의한 사업으로 올 4월 확정·고시된 사업으로 도시철도와 같은 지방사업이 아닌 국가사업인 만큼 사업속도나 국비확보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또 배차간격도 서울~천안을 잇는 경부선 전철이 7.1분(평시, 출퇴근 시 6.0분), 구로~인천을 잇는 경인선 전철이 5.2분, 용산~용문을 잇는 중앙선 전철이 14.6분 등 평균 7~8분대로 대전에 광역철도망이 구축될 경우 수도권전철과 비슷한 수준의 배차가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