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내 기초생활수급자의 탈(脫) 수급률이 감소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직업전문교육 등 프로그램 개발,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 발굴 및 지역고용센터와 연계 강화 등 도의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14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 기초생활수급자 중 자활사업에 참여한 수급자 수는 지난 2009년 1357명에서 지난해 1373명으로 소폭 늘었지만, 이중 탈 수급자 수는 2009년 233명에서 지난해 147명으로 37% 감소했다.
더욱이 도내 근로능력이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중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수급자는 10%가량에 불과한데다, 이중 자활을 통한 탈 수급률도 10% 대에 머물고 있어 빈곤의 악순환이 심화되고 있는 셈이다.
자활사업은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에게 우선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일자리 제공 등을 통해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지만, 도는 지난 2008년까지 자활사업 참여자와 탈 수급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도 없는 실정이다.
탈 수급을 위해서는 수급자들이 자활사업의 직업훈련 과정을 거쳐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거나 창업을 통해 수입을 높일 수 있어야 하는데 최근 계속되는 경기 침체로 일자리를 찾기 더욱 어려워졌다.
또 자활사업 참여자 대부분이 중장년층, 여성, 저학력과 근로능력 미흡으로 기술 습득에 어려움이 있으며 직업전문교육 등 프로그램 부족, 자활인프라 취약 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 근로능력 있는 수급자의 일자리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자활근로 참여자의 탈수급 의욕 고취를 위해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겠다”며 “또 참여자의 근로의욕 증진 및 사회적응을 위한 의식교육 훈련 기회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이에 따라 직업전문교육 등 프로그램 개발,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 발굴 및 지역고용센터와 연계 강화 등 도의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14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 기초생활수급자 중 자활사업에 참여한 수급자 수는 지난 2009년 1357명에서 지난해 1373명으로 소폭 늘었지만, 이중 탈 수급자 수는 2009년 233명에서 지난해 147명으로 37% 감소했다.
더욱이 도내 근로능력이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중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수급자는 10%가량에 불과한데다, 이중 자활을 통한 탈 수급률도 10% 대에 머물고 있어 빈곤의 악순환이 심화되고 있는 셈이다.
자활사업은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에게 우선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일자리 제공 등을 통해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지만, 도는 지난 2008년까지 자활사업 참여자와 탈 수급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도 없는 실정이다.
탈 수급을 위해서는 수급자들이 자활사업의 직업훈련 과정을 거쳐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거나 창업을 통해 수입을 높일 수 있어야 하는데 최근 계속되는 경기 침체로 일자리를 찾기 더욱 어려워졌다.
또 자활사업 참여자 대부분이 중장년층, 여성, 저학력과 근로능력 미흡으로 기술 습득에 어려움이 있으며 직업전문교육 등 프로그램 부족, 자활인프라 취약 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 근로능력 있는 수급자의 일자리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자활근로 참여자의 탈수급 의욕 고취를 위해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겠다”며 “또 참여자의 근로의욕 증진 및 사회적응을 위한 의식교육 훈련 기회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