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도과선교(跨線橋·홍도육교) 개량사업의 착공시기를 두고 대전시와 동구 삼성·홍도동 등 해당지역 주민 간의 이견이 표출되고 있다.
시는 2015년 착공을 계획하고 있는 반면 지역 주민들은 예산 미확보에 따른 공사 지연을 우려하며 즉각 착공을 주장하고 있다.
13일 시에 따르면 홍도과선교 개량사업은 현재 홍도육교 교각을 철거하고 홍도육교 오거리 동서초등학교에서 구성2지구 지상을 연결하는 지하차도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시는 이를 위해 홍도육교 지하화사업 기본설계 용역을 수행하고 있으며, 다음 달 말에는 최종 용역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문제는 이 같은 홍도육교 지하화의 착공시기와 방법을 두고 시와 지역주민 간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는 점이다.
시는 지난 8일 삼성동 주민센터에서 홍도육교 지하화 2차 주민설명회를 열고 경부고속철도변 정비사업이 완료되는 시점인 2015년이나 2016년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철도시설공단의 사업범위에 따라 공사에 소요되는 예산을 확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기존 홍도육교를 철거하지 않고 안전장치 설치 후 공사를 진행하는 계획을 제시했다.
홍도육교가 위치한 동서로의 일평균 교통량이 약 6만 대에 육박하는 만큼 공사에 따른 교통정체 등 교통대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하화 공사에는 최장 5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우회도로로 교통량을 감당하기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주민들은 일부 예산미확보에 따른 공사 지연에 대한 우려를 강하게 표명하며 즉각적인 공사착수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홍도육교 인근 상권은 소음과 분진으로 인해 공실률이 증가하고 상권이 고사상황에 직면하는 등 사실상 슬럼화 단계에 봉착했다는 주장이다.
A(55) 씨는 “오랜 지역주민들의 숙원사업인 홍도육교 지하화 사업을 환영한다”면서도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는 예산미확보에 따른 공사지연 불안감이 번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시와 철도시설공단은 경부고속철로변 정비사업의 사업범위 확정을 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시는 지속적으로 철도시설공단에 최소한 철도횡단구간인 170m, 사업비 414억 원을 부담하는 방안을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대다수 주민들은 지하화사업 착수에 따른 기대감을 표출하면서도 일부 주민들은 소음과 분진 등 각종 피해를 호소하며 즉각 착공을 주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