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서식지 몽골을 가다]8)한국·몽골…정책연구의 현주소
철새는 계절에 따라 인간이 인위적으로 그어 놓은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든다.
순전히 생존을 위한 것이다. 그래서 철새들은 '이동'을 숙명으로 안고 산다.
해마다 겨울이면 우리나라를 찾는 독수리나 개리, 고니 등 대표적인 겨울철새들은 서식하고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가진 몽골이나 러시아 등지에서 봄·여름을 나고 가을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어김없이 남쪽으로 이동한다. 추위도 문제지만 눈덮힌 광활한 대지에선 먹이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교적 겨울을 나기 좋은 우리나라는 겨울철새들에게 매력적일 수 밖에 없다. 겨우내 꽁꽁 얼어 있지 않고 주기적으로 추위가 풀리면 물이 흐르고 먹잇감이 될 만한 생명체가 곳곳에 살아 숨쉬기 때문이다.
▲위기와 희망
물론 우리나라 전체가 이들의 겨울 휴식처는 아니다. 일부 내륙 습지가 남아 있지만 대부분 해안가, 특히 민물과 찬물이 만나는 강 하구에 월동지가 밀집해 있다.
독수리의 메카로 자리잡은 철원과 임진강 하구 장단반도, 물새들이 좋아하는 한강·금강·낙동강 하구, 천수만, 경남 주남저수지 등 30여 곳의 대규모 월동지가 남아 있을 뿐 쉼터 역할을 했던 소규모 내륙 습지들은 서서히 사라져 가고 있다.
내륙에서의 개발 열기가 이들을 서서히 내몰고는 있지만 그래도 그만큼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도 서서히 확산되고 있다는 점은 다행이다. 특히 천연기념물이나 멸종위기 보호종 등 희귀 조류에 대한 관심과 보호의지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철새들에겐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철새는 계절따라 국경을 넘나들기 때문에 우리만의 노력으론 이들의 생명력을 담보할 수 없다. 이들이 태어나고 자라는 고향의 서식환경이 뒷받침돼야 우리의 노력도 빛을 발할 수 있다.
▲이제 막 걸음마 뗀 철새보호 공동 노력
겨울철새가 주로 서식·번식하는 곳은 중국과 몽골, 러시아다. 특히 몽골은 국토 대부분이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한 말 그대로 '생물자원의 보고(寶庫)'인데 여기서 태어난 새끼들이 겨울만 되면 어김없이 한반도를 찾는다. 우리나라와 몽골이 함께 서식·번식지 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이유다.
몽골이 서식·번식 환경을 잘 보전해 철새들이 일정하게 개체수를 유지해야 우리나라에서도 그만큼의 철새를 볼 수 있고, 또 월동지 환경을 잘 보전해야 이들이 고향으로 돌아가 번식을 통해 일정한 개체수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게 바로 자연의 순리인 데 우리는 새 천년을 맞이하고 나서야 이 순리를 지켜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후 지속적인 논의 끝에 지난 2004년 우리 문화재청과 몽골 산림자연수자원청이 자연유산 교류협정을 체결하면서 공동연구 추진의 결실을 맺었다.
양국은 협정을 통해 매년 연구과제를 선정, 양국이 공유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철새 등 자연유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가기로 하고, 첫 공동연구 주제로 독수리를 선택했다. 독수리 월동 개체수가 1990년대 초 50∼100마리, 1990년대 말 150∼200마리, 2000∼2001년 850여 마리, 2001∼2002년 1200여 마리로 급증하면서 독수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국립중앙과학관 백운기 박사를 중심으로 한 우리 연구진과 몽골 연구진은 2005년 한 해를 몽골 독수리 번식지에 대한 조사와 우리나라 월동지에 대한 조사에 투자해 지금까지 규명하지 못했던 독수리의 생태적 신비를 조금이나마 벗기면서 이동경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됐다.
2006년도엔 '거위의 조상' 개리의 번식지(몽골)와 월동지(한국)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됐고 지난해엔 연구진이 더 확충돼 세계문화명승유산으로 등록된 몽골 오르혼강 유역(울란바타르 서쪽 360㎞ 지점)에 대한 전반적인 생태 연구가 펼쳐졌다.
이런 일련의 노력들은 자국에 분포하는 종(種)에 대한 기초자료는 반드시 과학적 조사를 통해 세계 속에 공유하도록 한 유네스코 등 관련 국제기구의 권고를 충족시키는 한편 희귀조류, 우리나라에선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는 철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로 작용했다. 그러나 이제 막 걷기 시작한 '철새 바로알기' 사업은 한 발 더 나가지 못하고 여기서 주저 앉았다. 양국의 이해관계와 함께 국가 간 연구기반 격차에 따른 한계에 봉착해 올해 연구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지 못했다.
몽골=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사진=우희철 기자 photo291@cctoday.co.kr
본 시리즈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기금 지원으로 이뤄졌습니다
철새는 계절에 따라 인간이 인위적으로 그어 놓은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든다.
순전히 생존을 위한 것이다. 그래서 철새들은 '이동'을 숙명으로 안고 산다.
해마다 겨울이면 우리나라를 찾는 독수리나 개리, 고니 등 대표적인 겨울철새들은 서식하고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가진 몽골이나 러시아 등지에서 봄·여름을 나고 가을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어김없이 남쪽으로 이동한다. 추위도 문제지만 눈덮힌 광활한 대지에선 먹이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교적 겨울을 나기 좋은 우리나라는 겨울철새들에게 매력적일 수 밖에 없다. 겨우내 꽁꽁 얼어 있지 않고 주기적으로 추위가 풀리면 물이 흐르고 먹잇감이 될 만한 생명체가 곳곳에 살아 숨쉬기 때문이다.
물론 우리나라 전체가 이들의 겨울 휴식처는 아니다. 일부 내륙 습지가 남아 있지만 대부분 해안가, 특히 민물과 찬물이 만나는 강 하구에 월동지가 밀집해 있다.
독수리의 메카로 자리잡은 철원과 임진강 하구 장단반도, 물새들이 좋아하는 한강·금강·낙동강 하구, 천수만, 경남 주남저수지 등 30여 곳의 대규모 월동지가 남아 있을 뿐 쉼터 역할을 했던 소규모 내륙 습지들은 서서히 사라져 가고 있다.
내륙에서의 개발 열기가 이들을 서서히 내몰고는 있지만 그래도 그만큼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도 서서히 확산되고 있다는 점은 다행이다. 특히 천연기념물이나 멸종위기 보호종 등 희귀 조류에 대한 관심과 보호의지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철새들에겐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철새는 계절따라 국경을 넘나들기 때문에 우리만의 노력으론 이들의 생명력을 담보할 수 없다. 이들이 태어나고 자라는 고향의 서식환경이 뒷받침돼야 우리의 노력도 빛을 발할 수 있다.
▲ 천연기념물센터 자연문화재연구실에서 문화재수리기능자인 오동세씨가 죽은 원앙을 박제로 재탄생시키고 있다. |
겨울철새가 주로 서식·번식하는 곳은 중국과 몽골, 러시아다. 특히 몽골은 국토 대부분이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한 말 그대로 '생물자원의 보고(寶庫)'인데 여기서 태어난 새끼들이 겨울만 되면 어김없이 한반도를 찾는다. 우리나라와 몽골이 함께 서식·번식지 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이유다.
몽골이 서식·번식 환경을 잘 보전해 철새들이 일정하게 개체수를 유지해야 우리나라에서도 그만큼의 철새를 볼 수 있고, 또 월동지 환경을 잘 보전해야 이들이 고향으로 돌아가 번식을 통해 일정한 개체수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게 바로 자연의 순리인 데 우리는 새 천년을 맞이하고 나서야 이 순리를 지켜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후 지속적인 논의 끝에 지난 2004년 우리 문화재청과 몽골 산림자연수자원청이 자연유산 교류협정을 체결하면서 공동연구 추진의 결실을 맺었다.
양국은 협정을 통해 매년 연구과제를 선정, 양국이 공유하고 있는 천연기념물 철새 등 자연유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가기로 하고, 첫 공동연구 주제로 독수리를 선택했다. 독수리 월동 개체수가 1990년대 초 50∼100마리, 1990년대 말 150∼200마리, 2000∼2001년 850여 마리, 2001∼2002년 1200여 마리로 급증하면서 독수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국립중앙과학관 백운기 박사를 중심으로 한 우리 연구진과 몽골 연구진은 2005년 한 해를 몽골 독수리 번식지에 대한 조사와 우리나라 월동지에 대한 조사에 투자해 지금까지 규명하지 못했던 독수리의 생태적 신비를 조금이나마 벗기면서 이동경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됐다.
2006년도엔 '거위의 조상' 개리의 번식지(몽골)와 월동지(한국)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됐고 지난해엔 연구진이 더 확충돼 세계문화명승유산으로 등록된 몽골 오르혼강 유역(울란바타르 서쪽 360㎞ 지점)에 대한 전반적인 생태 연구가 펼쳐졌다.
▲ 천연기념물센터는 천연기념물의 체계적인 연구·조사·교육 등을 수행하고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지난해 대전 서구 만년동에서 개관했다. |
이런 일련의 노력들은 자국에 분포하는 종(種)에 대한 기초자료는 반드시 과학적 조사를 통해 세계 속에 공유하도록 한 유네스코 등 관련 국제기구의 권고를 충족시키는 한편 희귀조류, 우리나라에선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는 철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로 작용했다. 그러나 이제 막 걷기 시작한 '철새 바로알기' 사업은 한 발 더 나가지 못하고 여기서 주저 앉았다. 양국의 이해관계와 함께 국가 간 연구기반 격차에 따른 한계에 봉착해 올해 연구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지 못했다.
몽골=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사진=우희철 기자 photo291@cctoday.co.kr
본 시리즈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기금 지원으로 이뤄졌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