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에너지 수급 불안정이 계속되는 가운데 일부 중앙부처의 전기사용량이 지난해보다 증가, 담세국민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부터 장기간 고유가와 에너지 위기를 이유로 연초 에너지경보 단계를 격상하고, 기업과 가정 등 민간에는 자발적인 절약을 주문해온 정부의 전기씀씀이가 줄기는커녕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지경부, 에너지관리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 1~5월 정부중앙청사의 전력사용량은 총 884만 8461㎾h로 지난해 같은 기간 863만 3704㎾h에 비해 21만 4757㎾h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로 정부중앙청사 근무 공무원들은 지난 1월 가장 많은 208만 7267㎾h의 전력을 사용했는데 그 당시 이상한파와 난방수요 급증으로 최대 전력수요가 네 차례나 경신돼 정부가 전기절약을 위해 에너지 다소비건물 난방온도, 지하철 운행 등을 강제로 제한했던 시기다.

결과적으로 국제유가가 배럴 당 100달러를 훨씬 상회하고, 중동 정정불안 등으로 에너지수급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일부 정부부처의 전기사용량은 오히려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반면 정부과천청사의 같은 기간(1~5월) 전기사용량은 772만 4㎾h로 지난해 796만 7578㎾h보다 24만 7574㎾h가 줄어든 것으로 알려져 대조를 이루고 있다. 특히 중앙부처의 전기사용 증가분은 고스란히 온실가스 배출증가로 직결돼 최근 정부가 기후변화에 따른 대응전략 차원에서 적극 추진하고 있는 녹색성장 정책에도 정면 배치된 셈이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전력난이 심화되는 위기 속에서도 정부 부처 간 전기절약에 대한 체감정도 차이가 크다”며 “하반기 전기요금 인상을 앞두고 정부가 국민들에게 전력난 등을 내세워 요금인상의 당위성을 설득하기 전에 최상급 기관인 일부 중앙부처의 안이한 인식부터 개선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국회 지경위 소속 김낙성 의원(자유선진당)은 "정부가 고유가와 에너지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국민들에게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을 요구하고, 전기료, 가스 등의 에너지 가격상승을 받아들이도록 주문하려면 먼저 정부가 전기 씀씀이를 줄이는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당진=천기영 기자 chun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