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나라당 공약집. | ||
100년 뒤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가 대전·충청권에 둥지를 튼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달 16일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신동과 둔곡지구를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세종시와 충남 천안, 충북 청원을 기능지구로 지정한다는 내용의 과학벨트 입지를 최종 결정·발표했다.
이날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대전 대덕R&D특구 등 충청권이 다른 후보지역보다 정성·정량적 평가에서 모두 월등한 평가를 받아 과학벨트위원회의 만장일치로 지정됐다”고 설명하면서, 사실상 과학벨트 논란을 잠재우려 했다.
그러나 충청권 대선 공약이 다시 원점에서 타 지역과 동일한 조건에서 평가·선정된 것에 대해 충청인은 물론 이번 선정에서 탈락한 대구, 광주 등의 지역을 중심으로 정부에 대한 불신과 불만은 여전히 누그러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과학벨트 선정과 관련, 정부와 여당은 “충청도에 할 만큼 다했다”는 자평이지만 지역에서는 “과학벨트 추진에서 입지 선정까지, 시작을 제외한 모든 과정과 결과는 충청인의 힘과 노력이었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대전과 충남·북 등 충청권 3개 시·도의 공조가 강화되는 계기가 됐다.
◆과학·예술인들이 시작한 순수 과학의 꿈= 과학벨트
과학벨트의 씨앗은 지난 2005년 과학·예술·인문학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심어졌다.
당시 민동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 등 과학인을 중심으로 한 예술·인문학 교수들은 '랑콩트르(Rencontre·만남)' 모임을 구성했고, 당시 이들은 세계 일류 과학자들이 모여 자유롭게 토론하며 연구하는 ‘과학과 예술이 결합된 공간’을 제안했다.
이 구상은 2007년 8월 경선을 통해 한나라당 대권 후보가 된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대표 공약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로 확정됐다.
그러나 과학벨트는 이 후보의 대통령 당선 이후 별다른 논의 없이 표류하다 세종시 수정안 발표에서 핵심 사안으로 발표되면서 곧 정국의 뇌관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세종시 수정안이 좌초하자 정부와 여당은 입지를 명시하지 않은 채 지난해 12월 ‘과학벨트 특별법’을 국회에서 통과시켰고, 다시 지난 2월 1일 이 대통령의 ‘과학벨트 공약 백지화 발언’으로 충청권은 일제히 단결, 투쟁모드로 돌입하기 시작했다.
반면 정부는 지난 4월 특별법 발효에 맞춰 같은 달 7일 과학벨트위원회를 구성하고, 13일 입지선정기준을 발표한 뒤 다시 28일 대전을 비롯한 전국의 10곳을 과학벨트 후보지로 선정하면서 과학벨트를 둘러싼 지역·정당·계파 간 갈등은 극으로 치달았다.
◆과학벨트 입지 선정= 충청권 공조의 힘
대전시를 중심으로 한 충청권 3개 시·도는 ‘이 대통령의 과학벨트 공약 백지화 발언’ 이후 강력한 공조체제를 가동했고, 수십 차례의 세미나와 포럼, 성명서 발표 등 민·관·정이 하나로 뭉쳐 대응했다.
우선 올 1월 17일 과학벨트 조성 충청권 추진협의회가 구성됐고, 충청권 3개 시·도는 공조체제를 정비하기 시작했다.
특히 염홍철 대전시장은 설 연휴 전날인 지난 2월 1일 신년좌담회에서 이 대통령의 '과학벨트 공약 백지화 발언'이 있자,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대책마련을 주문했다.
염 시장은 이어 7일 범시민사회단체장 간담회를 개최하고, 8일로 예정된 일본 삿포로 출장을 전격 취소한 뒤 10일 대덕특구 출연연구기관 기관장과의 간담회, 11일 당정협의회 등 범시민 동참분위기를 조성하며,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이후 시는 민·관·정이 참여하는 범시민 비상대책위 구성을 제안·추진했으며, 2월 14일에는 과학벨트대선공약이행대전비상대책위원회 준비모임을 갖고, 3월 2일 결성까지 앞장섰다.
충청권 3개 시·도는 공동주관으로 포럼과 결의대회, 토론회, 공동성명서 발표, 인터뷰, 기고 등 언론을 활용한 홍보와 함께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 당위성 확보를 위한 전 방위적인 활동에 총력을 기울였다. 지역 내 시민·사회단체, 자유선진당, 민주당 등 정치권에서도 힘을 보탰다.
대전사랑시민협의회와 대전개발위원회,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를 중심으로 지난 3월 4일 과학벨트대선공약이행대전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같은 달 14일 충청권 비대위를 구성한 뒤 과학벨트 충청권 사수 활동을 전개했다.
결국 충청인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노력한 결과, 마침내 지난달 16일 대전·충청권 입지가 확정되기에 이르게 된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500만 충청인과 과학강국을 염원하는 모든 국민의 지원과 성원이 있었기에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가 가능했다”며 “과학벨트를 통해 기초과학을 획기적으로 진흥시켜 기존의 선진국 모방의 추격형 경제에서 원천기술 발굴의 주도형 경제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일지 2006년 4월 ‘은하수 프로젝트’ 이명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