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회의원 선거 결과가 대통령 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충청인의 72.8%가 이렇게 대답했다.

충청투데이가 창간 21주년 기념으로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 앤 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충청지역 성인 1020명(대전 340명·충남 340명·충북 3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1대1 전화면접)에서 ‘내년 총선 결과가 대통령 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72.8%가 ‘그렇다’라는 답변을 내놨다.

‘매우 미칠 것이다’라는 응답은 28.4%였고, ‘아마 미칠 것이다’는 44.4%로 집계됐다. 반면,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라는 답변은 14.3%(아마 미치지 않을 것 9.9%, 전혀 미치지 않을 것 4.4%)이었다.

이 같은 결과로 볼 때 충청인은 내년 총선이 국회의원만을 선출하는 단독 선거가 아닌, 대선의 연장 선상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총선 초점과 선택 기준은

충청지역 유권자들이 바라보는 내년 총선의 초점은 ‘복지와 경제 정책’이었다.

‘내년 총선에서 가장 중요한 초점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9.5%가 ‘복지·경제 등 정책 비전’이라고 답했다.

뒤를 이어 ‘정권 심판’은 14.2%, ‘야권연대 등 정치구조 개편’은 8.8%였다. 무응답은 17.5%.

응답자 특성을 분석해 보면 ‘복지·경제’라는 응답은 40대와 30대 등 경제 주체 층과 한나라당 지지자에서 높게 나타났고, ‘정권심판’이란 응답은 남성과 민주당 지지자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총선 후보 선택 기준’으로는 ‘공약과 정책’ 보다는 ‘청렴과 도덕성’에 무게를 실었다.

내년 총선에서 투표할 때는 선거철마다 쏟아지는 ‘장밋빛 공약’이 아닌 ‘후보 개인의 됨됨이’를 보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후보 선택 기준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3.6%가 ‘청렴과 도덕성’을 첫손 꼽았고, ‘공약과 정책’은 24.3%였다.

이어 ‘정치적 영향력’은 11.0%, ‘소속정당’은 9.0%, ‘연령’은 2.1%였다. 무응답층 10.0%.

이 밖에 내년 총선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 투표층은 62.7%였고, ‘아마 투표할 것이다’는 19.4%, ‘별로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9.4%, ‘투표하지 않을 생각이다’는 4.4%였다. 무응답 4.1%.

이번 조사는 지역별·성별·연령대별 인구비례할당 표집 방식으로 표본을 추출해 RDD(임의번호걸기·Random Digit Dialing) 방식으로 실시됐다. RDD는 지역번호와 국번 이외의 마지막 4자리를 컴퓨터에서 무작위로 생성해 전화를 걸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지 않은 가구까지 조사하는 방식이다. 이번 조사의 최대 허용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였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