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2차 발사의 실패 책임에 대한 우리나라와 러시아측의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그 동안 나로호 사업 관련전문가 중심으로 운영되던 한·러 공동조사위원회(FRB)와 별도의 조사단이 구성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한·러 공동조사위원회(FRB)와 별도로 러시아 연방우주청과 한국 교과부 차원의 한·러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원인규명 작업에 착수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한·러 계약당사자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러 흐루니체프사 중심의 FRB가 책임소재 규명에만 치우치면서 조사가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양국은 먼저 추가 검증시험 및 자체 조사를 각각 실시한 후, 내달 중 한·러 공동조사단 1차 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또 조사단 공식 출범 전이라도 사전에 실무 기술 협의를 진행하여 조속히 원인 규명 작업을 마무리 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한·러 전문가들은 FRB 등을 통해 2차 발사 실패의 가설로 2단부 비행종단시스템(FTS) 오작동, 1단부의 산화제 가압·순환 시스템의 오작동, 1단부의 1-2단 분리 폭발볼트 오작동 등의 가설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책임 공방을 전개해왔다. 특히 비행종단시스템 오작동 가설은 실패 책임이 항우연이 제작한 상단부 킥모터 고체 추진제 연소가 폭발을 야기했다는 추정으로, 실패 원인 규명에서 우리나라에 불리한 내용이다.
비행종단시스템은 나로호가 비행궤도를 이탈하는 등 비상 상황 때 나로호를 자폭시키는 장치다.
이에 대해 ‘나로호 2차발사 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는 2차 발사 시 획득한 원격측정(텔레메트리) 자료와 지상검증 실험 등을 통해 제시된 각각의 추정 원인에 대한 정밀 분석 작업 중에 있으며, 항우연 측인 이 가설에 대한 강력 부인하고 있는 상태다.
한편 나로호 3차 발사는 원인규명과 함께 가능성 있는 모든 원인에 대해 충분한 개선조치를 도출한 후 추진할 예정이며,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할 때 내년 이후 가능할 전망이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