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 모(81) 씨는 동구 인동의 컨테이너박스에서 살고 있다. 그의 월수입은 노령연금 9만 원과 폐지수입을 통해 얻는 20만 원 가량이 전부다. 이마저도 10만 원은 컨테이너박스 월세로 나간다. 본래 정 씨는 부인, 자녀들과 함께 생활했지만 계속되는 기도원 입소와 특정종교 강요를 참지 못하고 집을 나왔다. 이후 정 씨는 냉방도 되지 않는 푹푹찌는 컨테이너박스에서 하루하루 열악한 삶을 이어가고 있다.

#2. 서구 관저동의 쪽방에 거주하는 성 모(80) 씨는 당초 아들과 함께 생활했다. 하지만 아들의 사업실패로 가정의 삶은 조각났다. 성 씨는 이후 홀로 거리를 돌며 폐품을 모아 판매하며 생활했다. 특히 열악한 생계에도 불구하고 그는 사회적 복지의 수혜를 받지 못했다. 그에게는 엄연히 부양의무를 가진 자녀들이 있어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등을 위한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근 성 씨는 대전시가 실시한 복지사각지대 일제점검을 통해 현재는 지역 교회의 지원 등 복지만두레의 혜택과 생계를 위한 생필품을 지원받게 됐다.

이처럼 최소한의 생계유지를 위한 지원의 범위에서 벗어난 이른바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극빈층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8일 대전시는 행정력이 미치지 않는 복지사각지대의 극빈계층에 대한 일제점검을 실시해 지난 7일까지 총 158건의 극빈층을 발굴했다.

지난달 23일부터 오는 15일까지 진행되는 일제점검은 시·구·동 일제조사 추진단 8144명이 투입돼 대대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시는 철도 및 지하철 주변, 공원 및 주변, 쪽방, 비닐하우스 등 총 5664개소에 대한 중점조사를 실시해 노인 63명, 장애인 20명, 정신질환자 12명, 아동 6명 등의 복지사각지대 극빈층을 발굴했다.

특히 발굴된 극빈층의 대다수는 홀로 폐지수집, 폐품수거 등으로 열악한 생활을 근근이 유지하는 노인층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들 극빈층 노인들은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자치단체와 기업 등의 지원이 절실하지만 실질적 복지혜택을 수혜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대다수가 부양의무를 가진 부인과 자녀 등이 있어 지원을 위한 법적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부는 기초생활수급자로 지정돼 생계비 등을 지원받다가 수급이 아예 중지되는 상황도 빚어지고 있다.

윤종준 시 복지정책과장은 “발굴된 극빈층의 대다수는 부양의무를 갖고 있는 자녀나 부인이 있어 생계비 지원 등을 위한 법적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지원을 받지 못했다”면서 “이번 일제조사를 통해 발굴된 극빈층에 대해서는 시의 복지만두레와 연결돼 지원을 받도록 하는 등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극빈층을 지속적으로 발굴·보호하겠다”고 강조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