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대와 철도대와의 통합추진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수도권 대학의 정원을 늘릴 때 대학은 해당 시·도지사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 규정에 따라 충북도지사의 '긍정적인 의견서'를 보내달라는 충주대의 요청에 충북도가 주민여론 수렴 등을 이유로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오는 7월로 예정돼 있던 교육과학기술부의 두 대학 통합 신청서 처리절차가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는 8일 충주대와 철도대와의 통합 추진과 관련, 충주지역 주민 등 이해 당사자들이 반대하면 교육과학기술부에 통합 반대 의견서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고규창 도 정책관리실장은 이날 오후 기자 간담회를 열어 "(최근 충주대가 통합 승인신청서를 교과부에 제출했지만) 일부에서는 충주대와 철도대와의 통합 안에 대해 잘 모르고 일부는 통합에 반대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고 실장은 “양 대학 통합안에 따르면 의왕캠퍼스(철도대) 대학 입학정원을 350명으로 하고자 충주와 증평캠퍼스 입학정원이 269명, 대학원 입학정원이 30명 줄고 교명은 '한국교통대'가 된다”며 "도는 충주대와 충주시·증평군, 이들 시·군 의회, 시민단체, 총학생회 등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수렴 결과에 따라 (통합 찬반) 의견서를 작성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의 검토 대상은 충주지역명을 삭제하고 교명을 정하는 데 대한 충주시민과 충주대 승격추진위원회 참여자 의견, 학생과 교직원 감축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충주대 예산액 감소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통합에 따른 구조조정사업비의 의왕캠퍼스 과다투자 등이다.
도에 따르면 충주와 증평캠퍼스 교직원 수가 26명 감축돼 의왕캠퍼스로 배치되고, 대학 구조조정 사업비 400억 원은 공통사업비 119억 원 외에 의왕캠퍼스 141억 원(35%), 충주캠퍼스 94억 원(23%), 증평캠퍼스 46억 원(12%)이 각각 배정된다.
통합안대로라면 철도대가 충주대로 흡수되는 게 아니라 충주대의 정원을 줄여가며 거꾸로 철도대로 흡수되는 결과라는 게 도의 입장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윤진식(충북 충주)국회의원 측은 "두 대학의 정원조정과 예산배분 등 통합의 구체적 내용은 현재 교과부 등에서 협의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어떤 경로와 목적으로 충북도가 이런 자료를 배포했는지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카이스트, 충남대, 공주대 등 지방 국립대학들이 앞다퉈 철도대와 통합을 추진하려 했다"면서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맞춰 대학 정원이 갈수록 감소하고 대학들의 구조조정 대비와 특성화를 통해 대학 경쟁력을 높이려고 몸부림을 치는 것을 충북도는 깨달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충주대 장병집 총장은 "철도대와의 통합은 충주대의 운명이 걸린 일로 기관별로 공문을 보내 설명회와 토론회를 준비하겠다"면서 "특히 이번 주 이시종 충북지사를 만나 다시 통합의 당위성 등을 자세히 설명하겠다"고 강조했다. 충주대는 지난달 30일 수도권 대학의 정원을 늘릴 때 대학은 해당 시·도지사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 규정에 따라 통합과 관련한 도지사의 '긍정적인 의견서'를 보내달라고 도에 요청했다. 양 대학은 지난달 24~25일 학교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통합과 관련한 공청회 및 투표를 했으며, 충주대는 교수 51.4%, 직원 61.2%, 조교 94.4%가 찬성을, 철도대는 교수 93.8%, 직원 88.9%, 조교 66.7%가 찬성했다. 이에 따라 양 대학은 같은 달 27일 교육과학기술부에 통합승인신청서를 제출했으며 통합 승인 여부는 다음달 결정될 예정이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