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대와 한국철도대의 통합이 '과연 적절하냐'를 놓고 새삼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또 이같은 논란이 도지사의 '주민의견수렴 파악' 지시에 의해 촉발된 측면이 있어 대학통합문제에 정치(?)가 개입되는 것 아니냐는 곱지않은 시선도 상존하고 있다. 충주대와 철도대의 통합논란을 짚어봤다. / 편집자
◆충북도 "주민의견수렴 파악하라"
이시종 충북지사는 지난 7일 "충주대와 철도대의 통합과 관련해 충주시민과 시민단체, 충주시의회 등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했는지를 파악하라"고 지시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양 대학이 통합하면 충주대 정원은 200여 명 주는 반면 철도대 정원은 늘고 통합에 따른 인센티브 대부분도 철도대에 주어진다고 판단해 지사가 이같이 지시를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충북도는 이에따라 충주대가 시민과 시의회, 시민단체 등을 대상으로 통합과 관련한 의견을 제대로 수렴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해달라고 학교측에 요구하기로 했다.
충주대는 지난 달 30일 수도권 대학의 정원을 늘릴 때 대학은 해당 시도지사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 규정에 따라 통합과 관련한 도지사의 ‘긍정적인 의견서’를 보내달라고 충북도에 요청한 바 있다.
양 대학은 지난 달 27일 교육과학기술부에 통합승인신청서를 제출했으며 통합 승인 여부는 7월경 결정될 예정이다.
◆충주대-청주과학대 통합무산 전적
충주대와 철도대의 통합은 학교 성격상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많다. 종합대인 충주대와 특성화대인 철도대를 통합해 교통대로 전환하는 것이 과연 효과적이겠냐는 지적이다.
충주대(전신 충주산업대)는 지난 2006년 청주과학대학과 통합을 진행했다.
청주간호전문대학으로 출발했던 청주과학대학은 당시 특화된 간호학과로 전국적인 유명세(?)를 타던 대학. 그러나 충주대와의 통합으로 간호학과의 특화된 이미지는 희석됐고 사실상 통합시너지는 찾을 수 없었던게 사실이다.
오히려 당시 논의됐던 충북대와 청주과학대학의 통합이 더 효과적이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에대해 충북대 관계자는 "당시 통합논의가 진행됐지만 전문대와의 통합을 반대하는 학내분위기가 많아 통합이 성사되지 못했다"고 회고했다.
이렇듯 통합문제는 단순히 학교간의 통합이 아닌 시너지를 창출하는 작업이어야 한다는 지적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이같은 차원에서 충주대와 철도대를 통합해 '교통대'로 전환하는 것이 과연 합리적이냐는 지적이 높은 상황이다.
◆통합문제 정치개입하나 논란
또 하나의 논란거리는 충주대 통합문제에 정치가 개입될 소지가 엿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대학통합을 놓고 충주를 정치적 바탕으로 하고있는 이시종 지사와 윤진식 의원의 '힘 겨루기'라는 시각인 것. 누구도 상대의 성과를 인정하기 어려워 통합 문제에 흠집을 내려는 것 아니냐는 바닥의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충북도는 8일 충주대와 철도대와의 통합 추진과 관련, 충주지역 주민 등 이해 당사자들이 반대하면 교육과학기술부에 통합 반대 의견서를 낼 것이라고 밝혀 반대분위기로 한발 더 나갔다.
지역의 한 대학관계자는 "대학간 통합문제는 단순히 학교통합차원이 아니라 지역과 미래를 위한 결단이어야 한다"며 "충주대와 철도대라는 만남은 그 효과에 사실상 의문이 드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 충주대가 청주과학대와 통합을 했지만 통합시너지를 내지 못했던 전례가 있는만큼 철도대와의 통합도 심사숙고해야한다"고 전했다.
홍순철 기자 david012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