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특정 자치구의 지역 이기(利己)와 일부 기초단체장의 정치적 목적에 휘둘리고 있는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이 정상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정부의 예비타당성 통과 및 국비 확보 문제 등을 감안해 합리적이고 대승적인 차원에서 결정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특히 국가철도망구축기본계획에 반영된 충청권 철도망의 국철을 활용하면 대전시는 당초 예정에 없던 3호선 건설 효과까지 거둘 수 있어 일부 기초단체장의 그릇된 판단에 의해 시의 주요 현안이 좌초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7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도시철도 2호선 건설과 관련 “누구든지 자기 동네, 자기 집 앞을 통과하기를 원하겠지만, 합리적인 토론과 검토를 통해 결정된 것은 지역 공동체 이익이란 차원에서 승복해야 한다”며 “시 산하 전체 공무원들의 올바른 이해는 물론, 시민들에게도 정확한 사실을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대덕구와 같이 잘못된 정보를 바탕으로 주민들을 선동하는 것에 대한 일침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각 자치구가 주민들의 입장을 시에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의 입장을 주민들에게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도 자치구의 책임이라는 의미로도 풀이된다.
실제 지난 4월 발표된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노선과 1호선, 국가철도망구축기본계획에 반영된 충청권 철도망의국철 노선은 모두 92.46㎞이며, 자치구별로는 동구 10.49㎞(비율 11.4%), 중구 14.31㎞(15.4%), 서구 29.52㎞(31.9%), 유성구 22.49㎞(24.4%), 대덕구 15.65㎞(16.9%) 등이다.
따라서 대덕구 만 유독 도시철도의 수혜지역에서 크게 벗어난 것처럼 주민들은 선동하는 것은 아무리 민선 자치시대라고 하더라도 문제가 있다는 시각에 근거한다.
마치 특정 자치구가 일방적으로 소외되는 것처럼 호도하고, 이를 유치전으로 확대하는 것은 시민은 물론, 대전시 전체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이 굵직한 현안을 놓고 사사건건 대립한다면 지방자치의 근간마저 퇴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구정 운영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밖에 없다는 우려에 기인한다.
염 시장은 또 “국철 계획이 확정되지 않았다면 현재 2호선은 성립될 수 없었다”며 “신탄진을 비롯해 1호선에서 소외된 지역이 국철로 해결된 만큼 2호선은 1호선과 국철(전철)이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합리적으로 결정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지금처럼 너도나도 ‘내 집 앞으로 지나야 한다’고 외치는 ‘핌피(PIMFY·Please, In My Front Yard)’에 함몰될 경우 어떠한 시정도 추진할 수 없는 ‘카오스’ 시대가 계속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