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7일 7·4 전당대회 경선규칙과 관련 현행 당헌·당규대로 여론조사 30%와 1인2표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한나라당은 7일 의원총회와 상임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 등을 잇따라 개최한 결과 이번 전당대회에서 현행 경선규칙을 그대로 적용하기로 했다.
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정의화)는 당초 여론조사를 폐지하고, 1인1투표제를 도입키로 했으나, 당내 쇄신파와 일부 당직자들의 반발에 따라 이 같은 방침을 결정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의총에서 전대룰을 놓고 친이(친이명박)계는 1인1표제의 비대위안을 지지한 반면 친박(친박근혜)계와 소장파 의원들은 비대위 안에 반대 입장을 밝히는 등 계파 간 충돌이 빚어졌다.
원희목 의원과 손숙미 의원 등은 “1인1표제가 진정한 당심을 반영할 수 있다”며 “전당대회 선거인단 규모를 21만 명으로 확대한 것 자체가 민심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친박 이종혁 의원은 “1인1표제는 조직선거가 될 수 있지만 1인2표제의 경우 1표는 개인 의견이 반영될 것”이라고 말해 비대위 안을 반대했다.
이성헌 의원 역시 “여론조사 반영을 배제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당권 주자인 홍준표 전 최고위원은 “과거 위기 상황에서 혁신안을 마련할 때 민심을 반영하기 위해 여론조사를, 집단지도체제를 위해 1인2표제를 각각 도입했다”며 비대위 안에 반발했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이날 의총에서 “비대위는 특정 정파를 위해 미리 결론을 갖고 회의에 임하지 않았고, 비대위원 개인의 판단과 소신, 양심에 따라 민주적 토론과 적법 절차에 의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한나라당은 7일 의원총회와 상임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 등을 잇따라 개최한 결과 이번 전당대회에서 현행 경선규칙을 그대로 적용하기로 했다.
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정의화)는 당초 여론조사를 폐지하고, 1인1투표제를 도입키로 했으나, 당내 쇄신파와 일부 당직자들의 반발에 따라 이 같은 방침을 결정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의총에서 전대룰을 놓고 친이(친이명박)계는 1인1표제의 비대위안을 지지한 반면 친박(친박근혜)계와 소장파 의원들은 비대위 안에 반대 입장을 밝히는 등 계파 간 충돌이 빚어졌다.
원희목 의원과 손숙미 의원 등은 “1인1표제가 진정한 당심을 반영할 수 있다”며 “전당대회 선거인단 규모를 21만 명으로 확대한 것 자체가 민심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친박 이종혁 의원은 “1인1표제는 조직선거가 될 수 있지만 1인2표제의 경우 1표는 개인 의견이 반영될 것”이라고 말해 비대위 안을 반대했다.
이성헌 의원 역시 “여론조사 반영을 배제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당권 주자인 홍준표 전 최고위원은 “과거 위기 상황에서 혁신안을 마련할 때 민심을 반영하기 위해 여론조사를, 집단지도체제를 위해 1인2표제를 각각 도입했다”며 비대위 안에 반발했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이날 의총에서 “비대위는 특정 정파를 위해 미리 결론을 갖고 회의에 임하지 않았고, 비대위원 개인의 판단과 소신, 양심에 따라 민주적 토론과 적법 절차에 의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