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 일선 학교의 급식관리에 구멍이 뚫렸다.

최근 충북지역 99개 학교에 불법도축된 쇠고기 납품된 것이 사실로 드러난 가운데, 대전 및 충남도교육청의 급식 안전관리 대책도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축산물 등 학교급식식자재의 원산지와 위생상태 등을 철저히 확인·검수하기 위한 구체적인 메뉴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시·도교육청에 따르면 1년에 3~4번 씩 학교급식에 대한 불시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육가공업체 축산물에 대한 검수가 대부분 서류확인 작업으로 이뤄지고 있어 만일 발생할 수 있는 허위서류 제출 등엔 속수무책으로 축산물 이력 관리 시스템의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또 각종 식자재 검수 역시 영양사의 육안검수에만 의존하고 있어 식중독 등 각종 사고에 노출돼 있다는 것이 급식업계 종사자의 전언이다.

실제 시교육청의 경우 병든 소고기 납품사건으로 당초 내달로 예정됐던 학교급식 점검을 이 달로 앞당겨 실시할 예정이지만 육안검수 계획만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뚜렷한 검수 메뉴얼을 구축하지 못한 상태에서 학부모들의 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검역 전문가 참관은 빠져있는 것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달 중 학교급식 납품업체를 자체선정, 1주일 간 교육감, 지역교육장 등이 참관해 검수를 실시할 것”이라며 “육안검수라고 하지만 농산물품질관리원이 이 달 안에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불시점검을 나설 계획이어서 문제될 것이 없다”고 말했다.

도교육청 역시 최근 학교급식 납품 육가공업체에 대한 불시점검에서 서류확인 작업으로만 점검을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병든 소 사건 발생 이후, 축산물(한우) 검증시스템에 대한 공문만을 각 학교에 시달하는 등 대책마련에는 소홀한 모습이다.

한 급식업계 종사자는 "납품과정에서 축산물은 물론 농산물 등에 대한 농약 잔류검사나 농업용수 검사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육안으로만 검수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질낮은 식재료가 납품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지난달 대전지역 모 여고에서도 학생 80여 명이 식중독 증세를 보인 것과 관련,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학교급식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 대비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계 일각에서는 학교급식 식중독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식자재의 검수와 유통 과정을 전면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식자재가 유통과정에서 오염되면 언제든 사고가 되풀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모 시민단체 관계자는 "교육청은 불법도축 된 축산물이 학교급식으로 납품될 수 있는 가능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학교급식 위생관리 등 대대적인 점검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