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 공조에 동참한 충북이 거점지구 혜택 공유 등 지분 찾기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 연말까지 과학벨트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교과부는 기초과학연구원 50개 연구단은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설치하되 2012년까지 우선 25개를 선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충남·북, 대전은 과학벨트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과학벨트 공동 연구 용역 자문 등을 협의하고, 기본계획 반영 시 공동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과학벨트 구축이 본격화되면서 충북이 거점지구와 기능지구의 혜택을 얼마나 찾을지 주목되고 있다.

교과부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기초연구 지원(연구단, 대형시설, 장비, 해외기관 유치 등) 3조 5456억 △연구기반 조성(본원, 캠퍼스 건설, 정주 여건 조성 등) 8700억 △중이온가속기 구축 4604억 △기능지구 지원(학·연·산 연계 인력양성, 공동 R&D 등) 3040억 등 5조 1800억 원을 투입한다.

이 가운데 대전 대덕특구 거점지구에 2조 3000억 원, 청원 오송·오창, 세종시, 천안시 등 거점지구에 3000억 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거점지구에는 기초과학연구원 본원, 중이온가속기 등 핵심시설이 들어선다.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연구단 절반가량이 거점지구에 들어선다. 연구단은 연간 100억 원 안팎의 연구비를 최장 10년 동안 지원받고, 단장에게는 인력 선정과 평가, 연봉 책정 등 연구 관련 전권이 부여된다.

반면에 기능지구에 대한 지원액은 3000억 원에 불과해 오송·오창은 1000억 원을 지원받게 된다. 관련 법상 기능지구에 대한 혜택 등에 대해 명시된 규정이 없는데다 연구단 유치 경쟁도 벌여야 한다.

충청권 공조 대가로는 초라하기만 한 기능지구 지정에 대한 회의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지역의과학계를 중심으로 충북이 과학벨트 기본계획 구상과정에서 충청권 공조 대가를 확실히 찾아야 한다는 여론이 나오고 있다.

지역 의료계의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를 위한 지자체의 공조가 결실을 맺었지만 지역별로 수혜 규모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거점지구로 지정된 대전 대덕특구로 충청권으로 올 모든 혜택이 몰렸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충북은 오송·오창 기능지구 지정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충청권 공조에 대한 대가를 충분히 누릴 수 있는 주장을 펼쳐야 한다”며 “충북의 백년먹을거리 산업으로 육성되고 있는 오송바이오산업 등이 거점지구가 누릴 혜택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충북의 몫을 내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과학계 관계자는 “대전이 거점지구가 되면서 핵심시설이 집중될 경우 기능지구로 지정된 오송·오창은 그만큼 노력하지 않으면 시너지효과를 가져올 수 없다”며 “충청권이 거점지구와 기능지구로 분리됐지만, 사업계획을 짜는 과정에서 거점지구 혜택을 공유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의학계는 거점지구의 중이온가속기가 충북의 핵심전략산업인 보건의료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가속기 유치에 따른 효과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