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전당대회 경선규칙을 놓고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7일 열리는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서 격론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정의화)가 마련한 ‘1인1표제’ 경선규칙은 100인 이내로 구성된 상임전국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1000명 이내로 구성된 전국위를 모두 통과해야만 확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전대룰을 놓고 마찰이 예상된다.
‘1인1표제’와 관련 당내 소장파와 친이(친이명박)와 친박(친박근혜) 등 계파에 소속되지 않은 당권 도전자들을 중심으로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임전국위가 전대룰과 관련 당헌·당규를 개정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만큼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서 ‘1인1표제’ 안을 놓고 갈등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나라당 쇄신 모임인 ‘새로운 한나라’는 이 같은 비대위 안에 대해 의원총회 개최를 주장하는 등 반발이 거세지고 있으며, 당권과 대권 분리 여부를 놓고 갈등을 빚었던 신주류와 구주류 역시 여론조사 배제 및 ‘1인1표제’ 도입을 놓고 격돌할 전망이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정의화)가 마련한 ‘1인1표제’ 경선규칙은 100인 이내로 구성된 상임전국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1000명 이내로 구성된 전국위를 모두 통과해야만 확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전대룰을 놓고 마찰이 예상된다.
‘1인1표제’와 관련 당내 소장파와 친이(친이명박)와 친박(친박근혜) 등 계파에 소속되지 않은 당권 도전자들을 중심으로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임전국위가 전대룰과 관련 당헌·당규를 개정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만큼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서 ‘1인1표제’ 안을 놓고 갈등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나라당 쇄신 모임인 ‘새로운 한나라’는 이 같은 비대위 안에 대해 의원총회 개최를 주장하는 등 반발이 거세지고 있으며, 당권과 대권 분리 여부를 놓고 갈등을 빚었던 신주류와 구주류 역시 여론조사 배제 및 ‘1인1표제’ 도입을 놓고 격돌할 전망이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