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1인 1표제의 전대룰을 도입함에 따라 예비주자들 간 득실계산과 함께 눈치 보기가 극심하다.
특히 이 같은 경선규칙과 관련 각 계파 간 갈등 유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전대를 둘러싼 당내 혼란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 2일 기존의 1인 2표제의 대의원 투표 70%와 여론조사 30% 합산 방식을 개정, 100%의 1인 1표제 도입을 결정하면서 각 후보들 간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1인 1표제 100% 방안은 당내 계파를 대표해 후보로 나설 경우 계파 지원이라는 유리함을 활용할 수 있지만 인지도가 높더라도 조직력이 약한 후보의 경우 불리하다는 인식이다.
더구나 선거인단이 21만여 명으로 늘었음에도 대의원 선출은 당협별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실상 계파 구도로 전대가 치러질 것이라는 볼멘소리도 적지 않다.
당권 도전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홍준표 최고위원은 “특정 세력이 금권선거와 조직투표를 자행, 민의에 어긋나는 지도부를 만들려는 반개혁적 시도”라고 반발하고 있다.
홍 최고위원은 “1인 1표제니 1인 2표제니 하는 것은 관심이 없다. 어떻게 해도 계파 투표는 마찬가지이고 중요한 것은 여론조사 배제 주장은 또다시 구태로 돌아가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홍 최고위원은 특히 “기존 전대룰은 오랜 시뮬레이션을 거쳐 만든 것으로 당시 이명박 대선 후보에게 유리한 것을 박 전 대표가 받아들인 것”이라며 “대선룰 역시 민심 대 당심이 5대 5인 만큼 이를 대비하는 당 대표 선출에도 여론 지지율을 포함시키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중립 성향의 초선모임인 ‘민본 21’ 역시 “비대위의 결정은 쇄신이 아닌 쇄국이며 뜨거웠던 민의에 대한 고려장”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쇄신모임인 ‘새로운 한나라’ 소속인 정태근 의원도 1인 1표제에 반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1인 2표제는 계파별 합종연횡에 따른 나눠먹기식 구태로 이어졌다”며 “선거인단도 21만 명으로 늘어 여론조사가 없어도 민의를 반영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한나라당은 한편 이번주부터 전대 준비가 본격화될 예정인 가운데 오는 7일 열리는 당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에서 경선규칙을 놓고 치열한 논쟁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특히 이 같은 경선규칙과 관련 각 계파 간 갈등 유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전대를 둘러싼 당내 혼란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 2일 기존의 1인 2표제의 대의원 투표 70%와 여론조사 30% 합산 방식을 개정, 100%의 1인 1표제 도입을 결정하면서 각 후보들 간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1인 1표제 100% 방안은 당내 계파를 대표해 후보로 나설 경우 계파 지원이라는 유리함을 활용할 수 있지만 인지도가 높더라도 조직력이 약한 후보의 경우 불리하다는 인식이다.
더구나 선거인단이 21만여 명으로 늘었음에도 대의원 선출은 당협별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실상 계파 구도로 전대가 치러질 것이라는 볼멘소리도 적지 않다.
당권 도전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홍준표 최고위원은 “특정 세력이 금권선거와 조직투표를 자행, 민의에 어긋나는 지도부를 만들려는 반개혁적 시도”라고 반발하고 있다.
홍 최고위원은 “1인 1표제니 1인 2표제니 하는 것은 관심이 없다. 어떻게 해도 계파 투표는 마찬가지이고 중요한 것은 여론조사 배제 주장은 또다시 구태로 돌아가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홍 최고위원은 특히 “기존 전대룰은 오랜 시뮬레이션을 거쳐 만든 것으로 당시 이명박 대선 후보에게 유리한 것을 박 전 대표가 받아들인 것”이라며 “대선룰 역시 민심 대 당심이 5대 5인 만큼 이를 대비하는 당 대표 선출에도 여론 지지율을 포함시키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중립 성향의 초선모임인 ‘민본 21’ 역시 “비대위의 결정은 쇄신이 아닌 쇄국이며 뜨거웠던 민의에 대한 고려장”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쇄신모임인 ‘새로운 한나라’ 소속인 정태근 의원도 1인 1표제에 반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1인 2표제는 계파별 합종연횡에 따른 나눠먹기식 구태로 이어졌다”며 “선거인단도 21만 명으로 늘어 여론조사가 없어도 민의를 반영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한나라당은 한편 이번주부터 전대 준비가 본격화될 예정인 가운데 오는 7일 열리는 당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에서 경선규칙을 놓고 치열한 논쟁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