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구의 지역 소이기주의 행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

대덕구가 충청권의 자존심과 사활이 걸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서명운동은 미온적 대응으로 일관한 반면, 도시철도 2호선 유치를 위한 서명운동에는 올인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대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과학벨트 충청입지가 위태롭던 지난 2~3월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충청비상대책위원회가 ‘과학벨트 사수 시민서명 운동’을 전개할 당시, 대전지역에서는 모두 103만 여 명의 시민들이 서명에 동참했다. 이 때 서명운동 참여자는 동구 10만 396명, 중구 11만 6000명, 서구 19만 9073명, 유성구 11만 3523명 등 자치구 당 평균 10만여 명을 넘는 서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대덕구는 타 자치구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3만 7000여 명의 서명 만을 제출했다.

문제는 이처럼 과학벨트 사수투쟁에서는 소극적 자세로 일관한 대덕구가 도시철도 2호선과 관련해서는 주도적 서명운동을 전개, 11여만 명의 서명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3일 열리는 시 공청회에 앞서 주민설명회를 열고 ‘대덕구 소외론’을 재점화하는 등 지역민의 감정을 부추기는 선동적 행정으로 일관하고 있어 선출직 구청장의 의중에 따라 행정이 춤추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낳고 있다.

도시철도의 경우,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는 것이 선행과제이고 모든 시민이 전부 만족할 수 있는 ‘최선의 노선’을 도출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 함에도 불구하고 시가 특정 자치구를 홀대하고 있는 것처럼 구민들을 자극하고 있는데 근거한다.

결국 충청권과 한국 과학기술의 백년대계인 과학벨트 사수를 위해서는 소극적으로 대응한 반면 시 전체의 큰 틀 속에서 추진해야하는 도시철도에서는 소이기주의를 앞세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과학벨트 대전 입지사수를 위해 민·관·정이 하나로 뭉쳐 많은 노력과 의지를 결집했다”며 “당시 대전시를 넘어 충청권이 결집할 때 침묵을 지킨 대덕구가 도시철도와 관련해 11만 명의 서명을 전달한 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