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든 소를 불법 도축한 부산물을 해장국 원료로 사용해 손님의 발길이 뚝 끊긴 청주의 한 유명 해장국집 분점이 내부수리중이란 문구를 부착한 채 문을 닫았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지난해 말부터 구제역 등 최근까지 먹거리와 관련된 악재가 반복되면서 식당을 운영하는 업주와 고객 모두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일부 음식에 대한 혐오감과 함께 수급불균형에 의한 가격 폭등이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식당업계

지난해 11월 28일 경북 안동시 와룡면에서 처음 발생한 구제역은 올해 4월말까지 전국 200여 곳에서 의심신고와 살처분이 이어지면서 온 국민을 불안에 떨게 했다. 이로 인해 구이와 찜 등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즐기던 시민들은 한식당을 외면, 30~40%까지 매출이 급감했고 폐업을 고민하는 업주들이 속출했다.

또한 지난 3월 11일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에 방사능 성분이 유출되면서 일식전문점과 횟집 운영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회 전문점은 대개 5월까지 호황을 누린다는 것이 상식이지만 올해는 예약이 많지 않아 업주들의 한숨이 커졌다. 청주시내 일부 일식당에서는 경영난을 견디다 못해 직원 수를 줄이는가 하면, 업종을 전환한 사례까지 발생해 사태의 심각성을 알 수 있게 하고 있다.

최근에는 검찰이 충북의 대표적인 해장국집 일부 분점 대표와 납품업자 등에 대해 불법 도축된 소와 부산물을 공급한 혐의로 구속기소하자 이번 사건과 무관한 분점들까지 매출이 급감하는 등 사태가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이 해장국업체는 청주권을 비롯해 전국에 20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하고 있어 다른 체인점까지 큰 피해를 보게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해장국 전문점을 운영하는 김모(43·대전시 서구 관저동) 씨는 "하루에도 몇 명 씩 이 해장국은 안전하냐는 질문을 받는다"며 "우리 해장국집과는 전혀 무관한데도 일부 해장국 업체의 잘못으로 전체 해장국 업계가 타격을 받게 돼 걱정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식당으로 향하는 발길 '걱정'

갖가지 악재가 반복되면서 식당 업주들의 한숨이 커져 갔지만 점심식사와 저녁식사를 대부분 밖에서 먹는 직장인들도 어디에서 식사를 해야 할지를 놓고 고민을 하고 있다. 김모(48·청주시 상당구) 씨는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는 고깃집을 안갔고 일본 원전에서 방사능이 유출됐다는 소식에 횟집을 멀리했는데 또다시 해장국집 사건을 접하고 보니 어디에서 뭘 먹어야 할지 걱정된다"며 한숨을 쉬었다.

직장인 이모(37·청주시 흥덕구) 씨도 "불법도축된 소로 해장국을 만들어 팔아왔다는 기사를 보고 난 후 해장국에 대한 좋았던 감정이 모두 사라졌다"며 "최근에는 술을 마신 다음날 아침마다 라면을 끓여 먹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음식점 업주는 물론 손님들의 고민도 늘어나면서 관계기관의 지도감독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시민 한모(35·청주시 상당구) 씨는 "법을 어긴 사람들에 대해 강력한 처벌도 이뤄져야겠지만 시민들이 안심하고 식당을 찾을 수 있도록 관계기관에서도 지도점검을 더욱 강화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