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내 유력 대권 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의 사실상 대선 선대본부 역할을 할 조직이 올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빠르면 7월에서 늦어도 9월까지는 당내 대선 후보 경선을 위한 선대본부의 조직 구성을 완료한다는 것이 친박(친박근혜) 측 인사들의 구상이다. 이와 함께 그동안 정치 격랑에서 한발 물러서 있는 듯 한 자세를 취해 오던 박 전 대표도 정면으로 나서서 ‘대권 후보’로서의 철학과 비전 등을 국민들에게 직접 전달하는 등 대권 행보를 보일 것이라는 ‘대선 로드맵’도 나오고 있다.
친박 측의 한 핵심인사는 1일 “박 전 대표의 대선 선대본부의 역할을 할 조직을 꾸리기 위한 내부적인 정비는 거의 마무리된 상태이며 본격적인 활동 시기를 가늠하고 있다”라며 “7~9월경이면 실체가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전망은 내년 12월에 치러지는 대선 스케줄을 역산해 세워진 전략으로 풀이된다.
한나라당 내 대선 후보 경선의 경우 내년 7월 또는 8월에 실시될 전망이며, 책임당원으로 구성되는 선거인단 명부 작성 등 사전 작업에만 2달가량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시점은 내년 5월경이다. 당헌 당규 등에 따라 대선 경선 선거인단에 포함되기 위해선 6개월 이상 책임당원을 유지해야 한다.
역으로 계산해보면 올 11월 이전에 책임당원이 돼야만 내년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내년 대선을 준비하고 있는 당내 잠룡들은 오는 11월 이전에 지지세력들을 책임당원으로 등록 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선 늦어도 7~9월까지는 박 전 대표의 선거를 주도적으로 이끌 조직이 구성돼야 한다는 결론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경우 2007년 대선을 1년 6개월을 앞둔 2006년 7월에 이 같은 조직이 구성됐다.
친박 측의 한 인사는 “당시 박 전 대표는 2006년 10월에야 선대본부 역할의 조직이 만들어 졌다”라며 “이런 늦은 출발은 다음 해 있었던 당 대선 후보 경선에 이명박 대통령에게 패배하게 된 원인 중 하나가 됐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의 실질적인 대선 조직은 현재 외곽조직에 머물고 있는 국민희망포럼이 대표적이다.
지역별로 대전희망포럼처럼 그 지역의 명을 앞에 두고 ‘희망포럼’이란 명칭을 공동으로 쓰는 조직들이 각자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청원 미래희망연대 전 대표가 이끄는 청산회도 박 전 대표의 지지세력이며, ‘호박가족’이나 ‘박사모’ 등 온라인 팬클럽도 결집력을 높이고 있다.
이들 조직들은 현재까지 봉사단체나 팬클럽을 표방하고 있지만, ‘적절한 시점’에는 ‘책임당원’ 등으로 참여해 박 전 대표를 지지하는 대선조직으로 전환할 것이란 분석이다. 박사모가 오는 8월까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주 무대를 옮기기로 하고, 전국을 대상으로 지부 정비에 들어간 것도 이런 분석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밖에 박 전 대표의 싱크탱크로 알려진 국가미래연구원도 지난해 12월 27일 78명의 발기인으로 출범한 후 5개월 만인 5월 현재 정회원 200명을 넘기는 등 급속한 확장세를 보이고 있다. 대선 레이스가 본격적으로 벌어지면 국가미래연구원이 박 전 대표 대선 활동의 핵심 축으로 활동할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