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비리 의혹 문제가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가운데 원내 1야당인 민주당이 이 문제를 권력형 비리로 규정하며 여권과 전면전을 펴는 등 공세 강도를 높이고 있다.
민주당은 2일부터 시작되는 대정부 질문을 통해 저축은행 문제를 집중 파헤친다는 방침이어서 여권과의 충돌이 불가피해 보인다.
손학규 대표는 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저축은행 사태는 특권과 반칙, 서민 피눈물 흘리게 하는 대표적 권력비리 사태”라고 규정한 뒤 “저축은행 사태는 뭐니뭐니해도 이명박 정부가 제때 부실을 정리하지 못하고 키워서 서민 피해자를 만든 사태로, 그 본질은 대통령의 잘못된 인사전략에 있다”고 청와대를 직접 겨냥했다.
손 대표는 이어 “대통령의 정치는 정도를 가야 하며, 야당에 뒤집어씌워 물타기 하려는 시도는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부패와 비리, 청탁과 압력의 실체를 다 밝힐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진표 원내대표도 “저축은행 사태가 측근비리 종합세트 의혹으로 커지고 있다”면서 “청와대가 불길을 돌리려고 야당 의원을 끌고 들어가는 정치공작적 물타기를 벌이고 있는데, 임기를 1년 남겨둔 상황에서 남 탓과 물타기를 그만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영선 정책위의장은 “MB(이명박 대통령)는 보은인사, 금융권 인사개입으로 금융을 장영자 시대로 돌려놓았다”면서 “경제 검찰총장인 금감원장이 감사원에 가서 동냥성 행위와 발언을 하도록 움직인 몸통이 누구인지가 민주당의 관심사”라고 밝혀 권력형 비리 의혹을 제기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저축은행 게이트는 이명박 정부의 권력형 비리의 총집합이다. 백화점 같다”고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했다.
이인영 최고위원도 “반칙·특권·비리 드라마의 종결판”이라고 가세했다.
정세균 최고위원은 “이 정권 청와대는 무슨 일만 생기면 야당을 물고 늘어지는 ‘물귀신’ 청와대가 돼 버린 것 같다”며 호통을 치기도 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민주당은 2일부터 시작되는 대정부 질문을 통해 저축은행 문제를 집중 파헤친다는 방침이어서 여권과의 충돌이 불가피해 보인다.
손학규 대표는 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저축은행 사태는 특권과 반칙, 서민 피눈물 흘리게 하는 대표적 권력비리 사태”라고 규정한 뒤 “저축은행 사태는 뭐니뭐니해도 이명박 정부가 제때 부실을 정리하지 못하고 키워서 서민 피해자를 만든 사태로, 그 본질은 대통령의 잘못된 인사전략에 있다”고 청와대를 직접 겨냥했다.
손 대표는 이어 “대통령의 정치는 정도를 가야 하며, 야당에 뒤집어씌워 물타기 하려는 시도는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부패와 비리, 청탁과 압력의 실체를 다 밝힐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진표 원내대표도 “저축은행 사태가 측근비리 종합세트 의혹으로 커지고 있다”면서 “청와대가 불길을 돌리려고 야당 의원을 끌고 들어가는 정치공작적 물타기를 벌이고 있는데, 임기를 1년 남겨둔 상황에서 남 탓과 물타기를 그만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영선 정책위의장은 “MB(이명박 대통령)는 보은인사, 금융권 인사개입으로 금융을 장영자 시대로 돌려놓았다”면서 “경제 검찰총장인 금감원장이 감사원에 가서 동냥성 행위와 발언을 하도록 움직인 몸통이 누구인지가 민주당의 관심사”라고 밝혀 권력형 비리 의혹을 제기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저축은행 게이트는 이명박 정부의 권력형 비리의 총집합이다. 백화점 같다”고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했다.
이인영 최고위원도 “반칙·특권·비리 드라마의 종결판”이라고 가세했다.
정세균 최고위원은 “이 정권 청와대는 무슨 일만 생기면 야당을 물고 늘어지는 ‘물귀신’ 청와대가 돼 버린 것 같다”며 호통을 치기도 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