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이르면 오는 2013년부터 대전 유성구 금고동 쓰레기 매립장에 자원순환단지가 조성될 전망이다.

31일 기획재정부, 대전시 등에 따르면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과 폐기물 에너지화 정책에 따라 현재 유성구 금고동 쓰레기 매립장 내 자원순환단지 조성 사업이 계획 중이다.

이 사업은 그동안 매립·소각됐던 폐기물을 처리시설의 집적화와 에너지화로 전환하겠다는 정부의 신에너지 정책기조와 맞물려 추진되고 있다.

특히 시는 그동안 단순 매립 또는 소각됐던 생활폐기물을 자원화해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 회수시설인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을 추진키로 하고, 금고동 일대에 이 시설을 조성키로 했다.

이 가운데 민간의 자본을 끌어들여 오는 2016년까지 총사업비 1699억 원을 투입해 금고동 매립장 내 폐기물 전처리시설(400ton·일)과 고형연료 전용보일러(200ton·일), 하수슬러지 연료화시설(300ton·일) 등을 설치키로 하고, 지난해 5월 GS건설㈜ 컨소시엄으로부터 민간투자사업 제안서를 접수받아 같은 해 6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에 검토를 의뢰한 바 있다.

이후 공공투자관리센터는 1년 간 이 사업에 대한 경제·적격성 등을 검토한 결과, BC(비용·편익분석) 0.92, 적격성 분석(VFM) 0.51~-0.59%로 각각 분석했다.

KDI 관계자는 “경제적 타당성은 미확보 됐지만 현 제안내용에서 공사비와 운영비 등의 조정이 필요하다. 다만 적격성 분석 결과 민투계획과 정부실행대안 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에 따라 공사비와 운영비 등 비용을 낮추는 방향으로 하향 조정할 경우 BC를 현행 0.92에서 1.0으로 맞출 수 있다고 판단하고, 사업추진에 앞서 시의회, 환경부와의 협의절차를 거쳐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검토보고서를 면밀히 분석해 앞으로 시의회에 설명한 뒤 관계부처인 환경부와의 협의과정을 거쳐 국비지원 여부를 타진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며 “사업비의 소폭 조정이 이뤄질 경우 경제성에 문제가 없는 만큼 민간자본 유치를 통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번에 도입된 민간투자사업은 BTO방식으로 민간투자사업자가 사업을 완료한 후 시설운영에서 적자가 발생해도 지자체에서 손실을 보존해 주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환경부에서 국비지원이 가능하고, 시의회에서 사업추진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경우 기재부의 민투심의 절차와 사업자 선정을 위한 제3자 공고 등의 절차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돼 빠르면 오는 2013년 하반기 사업 착수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대전시가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은 생활폐기물을 가연성과 재활용품으로 분류 선별한 뒤 연료로 만들어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해 전력은 한전에 판매하고, 열은 열병합발전소에 판매하는 방식의 신재생에너지사업이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