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재 충북문화재단 대표이사 허위학력 파문과 관련, 충북도가 여론 수렴에 나서 이시종 지사가 어떤 수습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현재로서는 이 지사의 사태 수습 카드가 없고, 강 대표가 스스로 퇴진하는 것이 유일 수습책이라는 여론이 팽배해지고 있다.
충북도 등에 따르면 강태재 충북문화재단 대표이사 허위학력 파문이 확산되자 충북도가 비공식적으로 공직자 등을 대상으로 이번 사태에 대한 여론을 수렴하고 있다.
충북문화재단 출범과정에서 인사 파문이 수그러들지 않고 확산되는 상황에 놓이면서 충북도가 뒤늦게 여론 수렴에 나선 것.
강 대표 허위학력 파문 등 일련의 충북문화재단 사태에 대해 도청 직원들의 여론은 상당히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도청 내부에서는 강 대표가 허위학력 파문 장본인으로 문화재단을 제대로 이끌어갈 수 있겠느냐는 부정적 여론이 높다. 강 대표는 시민단체 활동을 하면서 민선 4기 김양희 전 보건복지국장, 오선준 전 충북도립예술단장 등의 논문과 학위 관련 의혹을 제기해 낙마시킨 인물이라는 점에서 본인의 도덕성 문제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분위기다.
특히 강 대표가 일반 단체의 장이 아닌 시민단체의 대표라는 점에서 이번 사태를 어떤 형태든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여론도 있다. 이번 사태가 그대로 넘어갈 경우 시민단체의 지나친 간섭을 초래해 도정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도청의 한 관계자는 “도청 직원들은 강 대표가 도덕성이 결여된 상황에서 문화재단을 이끌어 갈 수 있을지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도덕성이 요구되는 시민단체 대표 중 한 사람이라는 점에서 다수의 공직자들이 부적격 인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허위학력 파문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강 대표의 퇴진 필요성도 나왔다.
이번 사태에 대해 이 지사가 강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지 않았고, 강 대표는 물러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따라서 이 지사의 이번 사태 수습을 위한 출구전략이 마땅치 않다. 강 대표가 스스로 용퇴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해법이라는 것이 도청 내부의 중론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 지사가 허위학력 파문에도 불구 강 대표를 그대로 신뢰하는 모양새가 됐다”며 “여론이 악화되고 있지만, 이 지사가 수습책을 내놓기가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강 대표가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스스로 물러나는 용단을 내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사태 수습을 위한 움직임이 없으면 도정 운영에 큰 부담이 됨은 물론 지역사회 혼란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도청 일각에서는 민선 5기 들어 보수진영과의 소원해진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상황에서 이번 사태를 잘못 처리할 경우 지역사회가 또 다른 갈등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질 가능성도 우려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