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카이스트 교수들이 지난달 31일 대전 유성구 구성동 카이스트 창의학습관에서 열린 비상총회에서 비상혁신위원회의 합의안에 대해 경청하고 있다. 정재훈기자 jprime@cctoday.co.kr | ||
잇단 학생 자살로 불거진 학교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는 KAIST 혁신비상위원회(이하 혁신위)의 의결사항 실행 여부를 두고 KAIST 교수협의회와 학교측의 대립각이 날카로워지고 있다.
혁신위 의결사항의 즉각 시행을 요구하고 있는 교수협에 맞서 서남표 총장이 이 사안은 이사회를 거쳐야 한다며 정면으로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KAIST 교수협은 31일 본원 창의학습관에서 회원교수 506명 중 224명이 출석(위임 170명 포함)한 가운데 총회를 열고 서 총장에게 혁신위 의결사항의 조속 이행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채택했다.
교수협은 성명을 통해 “총장은 지난 4월 혁신위 구성에 합의했고, 혁신위에서 결정된 사항을 즉시 실행하기고 약속해 놓고, 지금에 와서 이사회 의결을 일괄 거쳐야 한다며 실행을 거부하고 있다”며 “절박한 위기상황을 모면했다고 전체 구성원과의 중대한 약속을 저버리는 기회주의는 KAIST에서 사라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경종민 교수협회장은 “약속한다는 말이 중요한 게 아니라 약속을 지키는 행동이 중요한 것”이라며 “총장은 이사회 승인사항도 아닌 것까지 시간을 들여가며 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경 회장은 “교수 총회 중간에 성명서에 좀 더 강한 표현을 담아달라는 요구도 있었다”며 일부 교수들의 총장 용퇴 주장이 있었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학교측은 혁신위의 최종 의결사항이 나오면 이를 이사회에 올리겠다는 기본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앞서 지난 30일 서 총장은 학내 전체 구성원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혁신위 활동이 종료되면 최종보고서를 전체 구성원과 이사회에 즉시 보고하기로 한 만큼 혁신위로부터 최종보고서가 오길 기다리고 있다”고 밝힌바 있다.
박희경 기획처장도 이날 기자들에게 “혁신위 의결사항은 신중한 마음으로 모든 것을 하나로 놓고 봐야 여러가지 논의가 될 수 있다”며 “내달 말이나 7월 중 임시 이사회를 개최할 예정이어서 새학기 전에 사안을 처리할 수 있다”고 이사회 건의를 고수했다.
그러나 교수협측은 지금까지 두 차례에 걸쳐 나온 혁신위 의결사항은 최종본과 같다며 학교측 주장을 반박하고 있어 향후 갈등이 고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앞서 혁신위는 두 차례에 걸쳐 등록금제도 개선, 인문사회과목 우리말 강의, 학기제 변경 등에 대한 의결사항을 서 총장에게 전달한 바 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