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저축은행 비리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에 합의했지만 의제와 증인 채택을 놓고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야는 저축은행 비리 사건의 원인과 책임 소재 등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과거 정권에서 신용금고를 ‘저축은행’으로 변경시키며 각종 규제를 완화해 준 것에 대해 문제점을 제기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 측근인 은진수 전 감사위원을 비롯해 현 정권 인사의 연루 의혹을 제기하며, 현 정권의 부실 관리 및 부패 의혹을 집중 부각시킨다는 방침이다.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는 31일 “저축은행 비리의 원인과 대책을 논의하는 실질적인 국정조사가 돼야 한다”며 “폭로성 정치공세가 계속된다면 국민들에게 질책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금감원과 감사원, 국세청 등으로 비리 의혹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 사건의 진짜 몸통이 누구인지 파헤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증인 채택과 관련해서도 양당은 뚜렷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삼화저축은행 사외이사를 지낸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과 권재진 청와대 민정수석 등을 증인으로 채택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또 김황식 국무총리가 감사원장 재직시절 저축은행 감사와 관련 “오만 군데서 압력이 들어왔다”고 언급한 내용을 지적하며, 김 총리와 김종창 전 감사원장의 증인 채택도 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반면 한나라당은 이번 사건에 대해 검찰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고, 감독 부실과 제도 개선 등을 논의키로 한 만큼 증인 채택 역시 이를 규명하는 선에서 결정돼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한나라당 안형환 대변인은 “국정조사에서 범죄사실을 밝힐 수 없는 만큼 감독 부실과 제도 개선 등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이에 따라 여야는 저축은행 비리 사건의 원인과 책임 소재 등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과거 정권에서 신용금고를 ‘저축은행’으로 변경시키며 각종 규제를 완화해 준 것에 대해 문제점을 제기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 측근인 은진수 전 감사위원을 비롯해 현 정권 인사의 연루 의혹을 제기하며, 현 정권의 부실 관리 및 부패 의혹을 집중 부각시킨다는 방침이다.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는 31일 “저축은행 비리의 원인과 대책을 논의하는 실질적인 국정조사가 돼야 한다”며 “폭로성 정치공세가 계속된다면 국민들에게 질책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금감원과 감사원, 국세청 등으로 비리 의혹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 사건의 진짜 몸통이 누구인지 파헤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증인 채택과 관련해서도 양당은 뚜렷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삼화저축은행 사외이사를 지낸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과 권재진 청와대 민정수석 등을 증인으로 채택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또 김황식 국무총리가 감사원장 재직시절 저축은행 감사와 관련 “오만 군데서 압력이 들어왔다”고 언급한 내용을 지적하며, 김 총리와 김종창 전 감사원장의 증인 채택도 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반면 한나라당은 이번 사건에 대해 검찰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고, 감독 부실과 제도 개선 등을 논의키로 한 만큼 증인 채택 역시 이를 규명하는 선에서 결정돼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한나라당 안형환 대변인은 “국정조사에서 범죄사실을 밝힐 수 없는 만큼 감독 부실과 제도 개선 등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