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원군 오송·오창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로 선정된 것에 대해 청주시와 ㈜청주테크노폴리스 자산관리 등은 한껏 고무돼 있다.

은행권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자금 대출에 막혀 있는 청주테크노폴리스(이하 청주TP) 조성 사업에 적잖은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는 것이다. 일부에선 정부의 과학벨트 지구 발표 이후 청주TP 사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문의가 급증하고 있다며 분위기 반전을 설명하고 있다.

이에 시와 청주TP 자산관리 등은 현재 실무진간 협의중인 단계별 개발 계획만 확정되면 과학벨트 효과와 함께 사업 성공여부에 대한 리스크가 줄어 PF 재개에도 긍정적 효과를 불러올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 시점 또한 오는 하반기 중에는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시에 따르면 전체 347만㎡ 부지(흥덕구 강서2동 일원) 가운데 150만㎡의 부지에 우선 산업단지와 공동주택단지를 조성키로 하는 등 단계별 추진계획에 이사진간 잠정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오는 7월을 전후해 청주TP 개발계획 및 실시설계 용역이 마무리되면 그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면적을 축소하는 사업변경승인 절차를 밟은 뒤 곧바로 PF 승인 신청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청주TP 자산관리 관계자는 "PF 재개의 관건이 산업용지 분양의 성공여부에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인근 오송·오창지역의 과학벨트 기능지구 지정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충분하다"며 "이를 바탕으로 대기업 유치로 이어진다면 사업 성공으로 직결될 수도 있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와 청주TP 자산관리 등의 장밋빛 구상과 달리 지나친 확대해석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과학벨트 기능지구에 대한 개념조차 명확치 않은 현 시점에서 단순히 인근지역이라는 이유만으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는 건 섣부른 판단이라는 것이다. 특히 오송·오창 또한 천안시, 세종시와 연구단 등을 놓고 유치전을 벌여야 하는 입장인 만큼 과학벨트 효과가 청주TP의 경쟁력 향상을 불러오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사업강행을 위한 끼워맞추기식 해석보다는 일부 주민들의 재산권 문제가 걸린 문제인 만큼 사업지속 추진 여부에 대한 면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박상인 청주시의회 재정경제위원장은 "청주TP 사업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산업은행이 PF 대출에 미온적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사업의 성공여부가 불투명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라며 "사업추진을 위해 확실치 않은 긍정적 전망만 내놓을 게 아니라 시와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길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할 때"라고 지적했다. <끝>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