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의 저축은행 2차 구조조정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지역 저축은행들이 퇴출여부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내고 있다.

지난 1차 구조조정에서 금융감독원의 검사를 받지 않은 저축은행들은 혹시 모를 퇴출조건이 나오지 않을까하는 불안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반면 이미 금융감독원 검사를 받은 지역 저축은행들은 후속조치를 통해 부실을 털어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 2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과 예보가 공동으로 ‘저축은행 구조조정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2차 구조조정 준비에 착수키로 했다.

이번 검사로 수도권 지역 2~3개 저축은행은 퇴출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고 공동검사를 받는 15개 저축은행이 구조조정의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가운데 당장 3분기에 공동검사 일정이 잡힌 수도권 소재 2~3개 저축은행은 최악의 경우 퇴출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지역 금융권 전문가들은 PF대출 등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지역 저축은행들이 하반기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하반기 구조조정에 대해 금감원과 예보는 부동산 PF대출 비중이 큰 수도권 지역 저축은행 22곳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이번 구조조정에 지역 저축은행들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지역 저축은행들 역시 하반기 구조조정 검사와 관련해 자신들은 포함되지 않을 것이란 반응이다.

특히 일부 저축은행들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취급하지 않는 등 내실있는 경영으로 영업으로 그 동안 실추된 신뢰를 쌓기 위해 노력했다는 설명이다.

지역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지역에 모태를 둔 저축은행 업체는 대부분 3000억 원 이하의 소규모 업체로 이번 검사 계획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며 “그 동안 실추된 이미지 쇄신을 위해 내실있는 경영을 바탕으로 영업을 진행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금감원 검사를 받지 않은 저축은행들은 혹시 모를 일에 대해 불안함을 감추지 못했다.

지난 2009년 이후 금감원 검사를 받지 않았다는 모 저축은행 관계자는 “내부적으로는 내실있는 영업을 펼쳐왔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자부하고 있다”며 “그러나 타 저축은행들이 강화된 검사로 인해 BIS비율이 낮아지는 등 애를 먹었던 것을 감안할 때 불안한 마음은 어쩔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구성된 TF 측은 오는 9월 중 저축은행들의 연간 실적(지난해 7월~올해 6월)이 공시되면 부실 우려가 있는 곳은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걸러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