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원 오송·오창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로 선정되자 일각에서는 청주지역 최대현안 사업 중 하나인 청주테크노폴리스(이하 청주TP) 조성사업에도 적잖은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에 2회에 걸쳐 현재 청주TP 예정지구의 민심을 살펴보고, 과연 과학벨트가 청주TP에 실질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진단해봤다. / 편집자 |
지난 27일 청주TP 조성사업 예정지구인 청주시 흥덕구 강서2동 일원. 지구지정 고시를 알리는 표지판만이 청주TP가 들어설 곳임을 알려줄 뿐 여느 농촌동(洞)과 다름없이 평온하다. 들녘에는 모내기를 하는 농부들의 손길이 분주하다.
하지만 청주TP 이야기를 꺼내자 이들의 성토가 잇따랐다. 사업지연으로 발생한 주민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지난 2008년 8월 8일 청주TP 예정지구로 지정 고시된 향정·외북·내곡·상신·원평·화계·송절·문암 등 8개 법정동 일원 346만 8375㎡는 각종 행위제한에 묶이게 됐다.
이 때문에 벌써 3년째 집이나 창고의 증축·개축·신축 일체를 하지 못하고 있다. 토지거래도 뚝 끊겼다. 종종 공장용 창고부지로 매매가 이뤄지기도 했으나 신축이 불가하니 찾는이가 없는게 당연하다. 이렇다 보니 토지가치도 덩달아 제자리걸음이다. 전반적으로 가치가 상승한 인근 지역과 비교하면 오히려 떨어진 것과 다름없다.
실제 재산상 큰 피해를 본 사례도 있다. 시가 밝힌 사업계획 일정만 믿고 개발예정지 땅을 담보로 은행대출을 받아 다른 곳에 대토를 마련한 몇몇은 보상시기가 불투명해지면서 은행이자 갚다가 원금까지 날린 판이라고 하소연했다.
당시 청주시는 2010년 5월을 전후해 토지보상이 이뤄질 것이라 호언했으나 은행권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이 이뤄지지 않아 사업이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이제는 보상시점마저 가늠할 수 없게 됐다. 그 와중에 사업 발표이후 동네를 휩쓸고 간 투기 바람은 민심만 흉흉하게 만들었다.
주민 A 씨는 "자본주의 국가에서 수년째 재산권 행사를 못하고 있는데 기분 좋아할 사람이 누가 있겠느냐"며 "주민들이 겉으로 말은 안하지만 무책임한 시행정에 대한 불만이 팽배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다른 주민 B 씨는 "개발을 하던 아니면 지구지정 취소를 하던 빨리 결정을 내려줘야 주민들이 더 이상 피해를 보지 않을 것 아니냐"며 "매번 해가 바뀌면 될거다, 면적을 축소해 할거다 이런 말뿐이니 과학벨트 효과를 볼거란 말도 도무지 신뢰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시는 청주TP 개발계획 및 실시설계 용역이 끝나는대로 개발면적을 축소해 사업변경승인 절차를 밟으면 늦어도 오는 7월을 전후해 PF 승인 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