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업시행사를 찾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는 황해경제자유구역 당진 송악지구 개발이 사실상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황해경제자유구역청(이하 황해청)이 지구지정 해제를 요구하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토론회를 내달 초에 개최할 예정이지만 주민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29일 황해청은 사업시행사를 찾지 못해 표류하고 있는 황해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오는 6월 초 주민토론회를 열고 자구책을 마련한 후 시행사 선정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당진 송악지역 주민들은 토론회 개최 전까지 사업시행사를 선정해 사업추진이 가시화되지 않으면 지구지정 해제를 요구한다는 입장이다. 결과적으로 황해청과 주민 간에 입장차가 점차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어 원활한 사업추진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황해청은 6월 초에 주민토론회를 개최해 사업 축소를 비롯한 정상화 방안을 마련한다는 생각이지만 주민들의 의견은 이와 다르다. 대부분의 지역 주민들은 황해청이 토론회를 개최하기 전까지 사업시행사를 선정하는 등 사업 정상추진에 대한 의지를 밝히라고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3년간 사업시행사를 선정하지 못한 황해청이 토론회 예정일인 6월 초까지 10여 일 내에 신규 사업시행자를 정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점에서 불가능한 일이다.
김진선 송악지구 주민대책위원장은 29일 “주민토론회가 열리기 전 사업시행사를 선정해 함께 나와 주민들을 설득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경제구역이 국가발전을 위한 것이라고 해서 받아들였지만, 현 상황에서 저축은행 부실 등 금융시장이 요동치는 데 어떤 시행사가 오겠느냐”며 “다시 축소 개발 쪽으로 방향을 잡은 후 상황이 잘 안 풀리면 다시 해제하는 데까지 최소 4년은 걸릴 것”이라며 황해청에 대한 강한 불신을 표출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현재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규모 위험사업에 대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시장도 어려운 형편인데, 만약 축소해서 갈 것이라면 사업시행자를 정하고 나와서 설득해야 맞는 것”이라며 “대안을 먼저 도출한 후 시행사를 선정한다는 것은 단순 시간 끌기 작전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황해청이 3년간 공무원 130여 명과 예산을 투입해 왔지만 3년 동안 해온 게 뭐가 있느냐”며 “6월 안희정 충남지사와 공개토론회를 하는데 시행사가 선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주민 의견이 반영되지 않을 시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황해청은 난감한 표정이다. 사업자 선정에 앞서 기본적인 개발 계획안이 도출돼야 각 기업을 상대로 사업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우선 사업자 선정 후 대안 마련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설명이다.
황해청 관계자는 “우리도 우선 사업자가 선정돼 토론회에 참여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다”며 “현재 사업자 선정을 위해 국낸 30대 건설 기업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며, 시행사 선정을 조속히 하기 위해 첨단산업 등 투자유치를 할 수 있는 국내 선도기업들도 물색하고 있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충남도 관계자는 “7월부터 충남도에서 황해청장을 임명하는 만큼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최적의 인물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황해청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사업규모 등을 포함한 구체적인 개선안을 도출하고, 사업규모 축소 시 해제대상자를 선정하는 등 주민 동의를 구한다는 계획이며, 이를 바탕으로 7월까지 실효성 있는 사업 계획을 정립한 후 시행사 선정에 본격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