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은행 비리 사태가 이명박 대통령 측근까지 연루되자 한나라당 내에서도 이에 대한 국정조사 주장이 나오고 있어 저축은행을 둘러싼 비리가 국정조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는 27일 주요 당직자회의에서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니 전모가 밝혀 지겠지만 정치권에서도 필요시에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등 야권은 이미 저축은행 비리 사태가 ‘청와대의 정책 실패’인 만큼 비록 수사가 진행 중이지만 청와대와 관련된 부분은 국정조사를 조기에 실시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어 저축은행을 비리 사건을 놓고 국정조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나라당 황 원내대표는 이날 “저축은행 사건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에 있는데 놀랍게도 감사원 현역 감사위원이 연루된 혐의가 나타났다고 해 국민이 걱정하고 있다”며 국정조사 실시 입장을 밝혔다.
한나라당 이성헌 의원도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필요하다면 국조를 통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규명해야 한다”며 “검찰은 은 전 감사위원 문제 뿐아니라 일부 저축은행이 지난 정권 시절 비약적으로 성장하면서 권력과 유착관계에 있었는지도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박선숙 의원 역시 “은 전 감사위원 문제는 개인 차원을 넘어선 정권 차원의 문제”라며 “여권 핵심인 은 전 감사위원의 비리에 대해 낱낱이 규명하면서 김황식 총리가 감사원장 시절 저축은행 감사와 관련해 압력을 받았다고 언급한 인사들의 실체도 밝혀내기 위해 국조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대변인은 “은 전 감사위원이 부산 저축은행 로비스트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지난 2월 김황식 국무총리도 감사원장으로 있을 때 ‘저축은행의 부실대출을 감사했더니 오만군데서 압력이 들어오더라’고 증언했다”며 “감사원이 지난해 5월 저축은행 부실대출 규모를 밝히기는 했지만 올해 1월이 돼서야 삼화 저축은행에 대한 영업정지 조치가 내려졌다. 감사결과가 나온 지 8개월이 지나서야 조치가 이루어진 이유를 밝혀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