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구가 도시철도 2호선 노선(안) 문제를 정치적으로 악용하거나 지역이기에만 매달려 자칫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도시철도는 도심 골목골목을 누비는 국지성 개념의 교통수단이 아닌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축으로, 2호선 노선 역시 국내 최고의 교통전문가들이 도시의 중장기 및 균형발전을 고려해 도출한 최적안이라는 점에서 특정 지역의 무리한 요구가 계속될 경우 사업자체가 원점에서 재검토될 수 있다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대전시는 26일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노선과 관련 진잠~유성네거리까지 모두 26개의 역사를 신축키로 한다는 내용의 잠정안을 확정하고, 내달 3일 시민공청회 등의 절차를 거쳐 내달 말 예타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도시철도 2호선 1단계는 진잠역을 기점으로 관저~가수원~정림~도마네거리~버드내네거리~유천~서대전역~서대전네거리~대사~한밭운동장~인동네거리~대동역~우송대~가양네거리~동부네거리~중리네거리~중리동~오정농수산시장~재뜰네거리~정부청사~만년네거리~국립중앙과학관~KAIST~충남대~유성네거리를 잇는 총연장 28.6㎞ 구간이다.

시는 또 지난달 국토해양부가 고시한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충청권철도망사업이 반영됨에 따라 대덕구 신탄진 등 대전 도심을 지나는 국철을 광역전철로 활용해 도시철도 1호선과 연계한 X축을 완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치권, 시민·사회단체 등 지역의 역량을 결집해 내달로 예정된 도시철도 2호선 건설을 위한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에 철저하게 대비한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그러나 대덕구 등 일부 기초자치단체가 도시철도 2호선 노선 변경 등을 요구하며, 구민서명운동을 전개하는 등 정치 쟁점화 시키면서 예타 통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정용기 대전 대덕구청장은 이날 한 방송에 출연해 “(도시철도 2호선)현재 계획하고 발표한 노선에서 중리4거리에서 송촌과 법동, 연축, 회덕동 지역을 경유해야 한다”고 언급했지만 예타 통과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예비타당성 조사가 너무 전문적인 분야고, 시간·비용이 드니까 자치구 차원에서 해볼 수는 없다”며 무책임한 발언으로 일관했다.

그는 이어 “(2호선 건설 사업은)전면적으로 재검토를 해야 한다. 이렇게 할 거라면 차라리 정말 하지 않는 것이 낫지 않는가 이런 생각도 가져 본다”며 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의 백지화 주장까지 내비쳤다.

정 청장의 발언에 대해 시 담당부서인 도시철도기획단 측은 어이없다는 반응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3월부터 최근까지 1년 넘게 대덕구를 포함 5개 자치구를 다니면서 구청장들에게 일일이 도시철도 2호선 사업과 국가철도망구축사업을 설명하고, 도움을 요청했다. 지난해 3~4월경에도 대덕구를 방문한 자리에서 정 청장은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충청권철도망사업이 반영되면 도시철도 2호선 문제는 내가 나서서 구민들을 직접 설득하겠다'고 말했다”며 “이제와서 구민들에게 그 때와 다른 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역의 한 교통관련 전문가는 "충청권철도망구축사업이 국가사업으로 확정되면서 X축이 완성됐고, 자연스러운 환경변화에 따라 노선과 시스템은 변경될 수 밖에 없다”며 “도시철도 2호선은 지금부터 준비를 해도 10년 뒤 완성된다는 점에서 각 지역별 의견이 중요한 것도 사실이지만 이 문제를 정치 쟁점화할 경우 지난 2006년도처럼 예타 탈락이라는 비운을 또 다시 맛볼 수 있고, 이 경우 역사의 죄인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