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 대상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 듣기와 읽기, 말하기, 쓰기 등 4개 영역에 대한 4등급 절대평가로 운영된다.
이 시험은 내년부터 일부 대학에서 시범적으로 활용되고 2016학년도부터 외국어(영어) 영역 수능을 대체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6일 고교생용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의 평가기준과 예시문항 등 시행방안을 공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인터넷으로 보는 시험이 듣기와 읽기, 말하기, 쓰기 등 4개 영역을 절대평가 방식으로 평가하며 A, B, C(Pass), F(Fail) 등 4단계로 등급이 매겨진다. 말하기와 쓰기 영역은 수능과 달리 직접 영어로 말하거나 서술해 답해야 하며 고교 3학년 때 두 번 응시해 좋은 성적을 택할 수 있다.
이 시험은 일부 대학 학과에서 내년에 치르는 2013학년도 수시모집부터 시범적으로 활용된다.
교과부는 내년 하반기에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의 공신력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수능 대체 여부를 확정할 계획이다.
수능 대체가 결정되면 현재 중학교 2학년이 수능을 보는 2015년에 실시되는 2016학년도 대입부터 적용된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이 시험은 내년부터 일부 대학에서 시범적으로 활용되고 2016학년도부터 외국어(영어) 영역 수능을 대체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6일 고교생용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의 평가기준과 예시문항 등 시행방안을 공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인터넷으로 보는 시험이 듣기와 읽기, 말하기, 쓰기 등 4개 영역을 절대평가 방식으로 평가하며 A, B, C(Pass), F(Fail) 등 4단계로 등급이 매겨진다. 말하기와 쓰기 영역은 수능과 달리 직접 영어로 말하거나 서술해 답해야 하며 고교 3학년 때 두 번 응시해 좋은 성적을 택할 수 있다.
이 시험은 일부 대학 학과에서 내년에 치르는 2013학년도 수시모집부터 시범적으로 활용된다.
교과부는 내년 하반기에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의 공신력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수능 대체 여부를 확정할 계획이다.
수능 대체가 결정되면 현재 중학교 2학년이 수능을 보는 2015년에 실시되는 2016학년도 대입부터 적용된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