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대권과 당권 분리 여부를 놓고 친이(친이명박)계와 친박(친박근혜) 간 갈등이 점점 고조되고 있다. 특히 친이 측은 ‘대권·당권 분리 여부’와 관련한 당내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정의화 비상대책위원장이 ‘대권·당권 분리’ 고수 입장을 밝힌 박근혜 전 대표의 손을 들어준 것이라고 해석하며, 반격이 거세지고 있다.
친이 측 비대위원인 차명진 의원은 26일 비대위 회의에서 “주요 일간지에서 ‘한나라당이 당헌·당규 개정문제를 고민하다 결국 박 전 대표의 뜻대로 결론을 냈다’고 했다”며 “사실은 (정의화) 위원장이 이런 언론 보도가 나오도록 발언을 했다”고 정 위원장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차 의원은 특히 “(정 비대위원장이) ‘당내 여론조사를 통해 대권·당권 분리 사항을 고치기 위해선 ‘고치자’는 응답이 적어도 75% 이상 있어야 하는데 조사결과 47%밖에 나오지 않아 어렵지 않느냐’는 상당히 자의적 해석을 했다”고 비판했다.
차 의원은 또 “그러나 저는 (정 비대위원장 견해와) 거꾸로 본다. (개정하자는 의견이) 47%면 많은 것이다”라며 “언론보도가 사실인지 해명해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 같은 친이계의 반발에 대해 중도개혁성향의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 21’은 이날 설문조사 결과를 존중해 당권과 대권을 분리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한편 한나라당은 선거인단 규모를 당원 20만 명과 2030 청년 선거인단 1만 명 등 총 21만 명으로 늘리기로 결정했다. 정희수 사무총장 직무대행은 “전대 선거인단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며 “유권자의 0.52%가량 되는 21만 명으로 정했다”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친이 측 비대위원인 차명진 의원은 26일 비대위 회의에서 “주요 일간지에서 ‘한나라당이 당헌·당규 개정문제를 고민하다 결국 박 전 대표의 뜻대로 결론을 냈다’고 했다”며 “사실은 (정의화) 위원장이 이런 언론 보도가 나오도록 발언을 했다”고 정 위원장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차 의원은 특히 “(정 비대위원장이) ‘당내 여론조사를 통해 대권·당권 분리 사항을 고치기 위해선 ‘고치자’는 응답이 적어도 75% 이상 있어야 하는데 조사결과 47%밖에 나오지 않아 어렵지 않느냐’는 상당히 자의적 해석을 했다”고 비판했다.
차 의원은 또 “그러나 저는 (정 비대위원장 견해와) 거꾸로 본다. (개정하자는 의견이) 47%면 많은 것이다”라며 “언론보도가 사실인지 해명해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 같은 친이계의 반발에 대해 중도개혁성향의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 21’은 이날 설문조사 결과를 존중해 당권과 대권을 분리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한편 한나라당은 선거인단 규모를 당원 20만 명과 2030 청년 선거인단 1만 명 등 총 21만 명으로 늘리기로 결정했다. 정희수 사무총장 직무대행은 “전대 선거인단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며 “유권자의 0.52%가량 되는 21만 명으로 정했다”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