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 유천지역 통합정비 조감도. 대전시청 제공  
 

한때 집창촌의 오명을 뒤집어썼던 대전시 중구 유천동 일대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환골탈태한다.

쾌적한 주거환경과 합리적인 교통체계를 갖춘 최고의 주거지로 탈바꿈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대전 중구는 26일 구청에서 박용갑 구청장을 비롯해 정비사업지역 추진위원장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천지역 정비사업 통합정비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유천동 일대 도시재생 마스터플랜을 수립했다.

이번 용역의 대상지는 유천생활권 130만㎡로 지난 3월 고시된 ‘2020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반영된 지역인 유천동 5·6재건축구역과 산성동 3재건축구역도 포함됐다.

토지이용계획에 따르면 대상사업지 가운데 공동주택용지가 61만㎡(47%)로 가장 넓고 이어 도로 20만㎡(16%), 복합개발용지 17만㎡(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날 확정된 통합정비계획(안)의 기본방향은 △개별 정비(예정) 구역 총할 광역계획 수립 △동서녹지축 조성 및 생활권 내 공원시설 확충 △보행자 도로망 구축 등 교통체계 개선 △서부터미널 부지 인구 유발시설 조성 등 지역경제 활성화 △개별정비사업 방향제시 등이다.

이를 토대로 중구는 ‘ACTIVE(엑티브) 유천’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추진전략으로는 교육·문화·공공시설 등을 한 곳에 집중하는 광역 커뮤니티 센터 조성, 복합 문화체육센터 건립 등 쾌적한 주거환경과 각종 문화 시설 등을 완비한다.

또 불합리한 서부네거리 교통체계의 개선을 위한 대둔산길 선형변경 등 합리적 교통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대규모 중앙녹지축에 내부 공연공간을 마련하고, 대규모 상업시설 및 디자인 특성화를 통해 인구 유입을 유도할 계획이다.

여기에 유등천변 생태공원과 연계한 대규모 중앙녹지축을 조성해 친환경 녹색도시 구현에 경주한다.

특히 이날 보고회에서는 유천동 등 대상지 일원의 공원 녹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향후 특화된 대규모 녹지축 조성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됐다.

이에 따라 중앙 녹지축에는 구역별로 특성 및 테마를 설정해 수변녹음 광장, 중앙광장, 문화광장, 생활광장 등을 조성하고 대상지 내 어린이공원 역시 구역별로 곤충·동화·공룡·음악 놀이터 등 개성 있는 공간을 창출할 계획이다.

박용갑 중구청장은 “지난 2년여 동안 수행한 유천지역 정비사업 통합계획이 마련됐다”면서 “유천지역이 최고의 정주환경을 가진 지역으로 탈바꿈 될 수 있도록 정비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