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탄저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결핵균 등 인체 위해 가능성이 높은 병원체의 병원성 및 백신 연구와 생물테러 검체 확인 진단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Biosafety Level 3, BL3) 연구시설’을 충북 오송생명과학단지 내에 국내 최대 규모로 설치해 개소했다고 26일 밝혔다.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은 지난 2008년 공사에 들어가 2010년 11월 준공했다.
올해 5월까지 연구자가 안전하게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와 외부환경으로의 병원체 누출이 방지되는지 여부에 대한 특수밀폐연구시설로서의 기준 적합성 확인, 검증이 완료됐다.
4층 규모의 연구시설에는 일반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동물취급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기기설비 구역으로 구성됐다.
일반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은 9개 실험실과 각 전실, 세척실 등 1200㎡, 동물이용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은 6개 동물사육실, 2개의 실험실과 각 전실, 동물검수실, 세척실 등 1200㎡ 규모다.
이 연구시설은 연구자뿐 아니라 환경에 대한 생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신의 생물안전 개념과 설비가 도입돼 시공됐다.
신종 병원체 등으로 인한 국가 생물학적 비상사태 시 병원체에 대한 상시 진단을 통한 즉각적인 비상대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 질병관리본부는 지속적인 감염병 연구의 선진 인프라 확보를 위해 최고 밀폐수준의 생물안전 4등급 연구시설에 대한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생물안전연구시설은 등급별로 △1등급은 건강한 성인에게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병원체를 이용하는 실험시설 △2등급은 사람에게 경미한 질병을 일으키고, 발병하더라도 치료가 용이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를 이용하는 실험시설 △3등급은 사람에게 발병했을 경우 증세가 심각할 수 있으나 치료가 가능한 병원체를 이용하는 실험시설 △4등급은 사람에게 발병했을 경우 증세가 치명적이며, 치료가 어려운 병원체를 이용하는 실험시설이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올해 5월까지 연구자가 안전하게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와 외부환경으로의 병원체 누출이 방지되는지 여부에 대한 특수밀폐연구시설로서의 기준 적합성 확인, 검증이 완료됐다.
4층 규모의 연구시설에는 일반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동물취급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기기설비 구역으로 구성됐다.
일반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은 9개 실험실과 각 전실, 세척실 등 1200㎡, 동물이용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은 6개 동물사육실, 2개의 실험실과 각 전실, 동물검수실, 세척실 등 1200㎡ 규모다.
이 연구시설은 연구자뿐 아니라 환경에 대한 생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신의 생물안전 개념과 설비가 도입돼 시공됐다.
신종 병원체 등으로 인한 국가 생물학적 비상사태 시 병원체에 대한 상시 진단을 통한 즉각적인 비상대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 질병관리본부는 지속적인 감염병 연구의 선진 인프라 확보를 위해 최고 밀폐수준의 생물안전 4등급 연구시설에 대한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생물안전연구시설은 등급별로 △1등급은 건강한 성인에게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병원체를 이용하는 실험시설 △2등급은 사람에게 경미한 질병을 일으키고, 발병하더라도 치료가 용이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를 이용하는 실험시설 △3등급은 사람에게 발병했을 경우 증세가 심각할 수 있으나 치료가 가능한 병원체를 이용하는 실험시설 △4등급은 사람에게 발병했을 경우 증세가 치명적이며, 치료가 어려운 병원체를 이용하는 실험시설이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