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친이(친이명박)와 친박(친박근혜)계가 25일 의원총회와 국회의원-원외당협위원장 합동연찬회에서 대권·당권 분리 여부를 놓고 정면 충돌했다.
박근혜 전 대표가 이미 현행 대권·당권 분리 규정 고수 입장을 밝힘으로써 일찌감치 입장 정리가 된 친박에 맞서 친이 측은 이 같은 규정에 대한 철폐를 주장하고 나섰다.
특히 이날 의총에선 대권·당권 분리 규정에 대한 철폐에 대해 친이 측의 공세가 거셌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두아 대변인은 “비공개 의총에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폐지해야 된다는 의견이 상당수 있었다”고 의총 분위기를 전했다.
이 대변인은 이어 “새로운 당 대표가 누가 되든 대통령 경선에 출마할 기회를 열어두어야 한다. 유력 대권 후보 중 전당대회에 나오지 않겠다는 입장을 정리한 사람도 있지만 나오겠다고 한 사람도 있으니 기회균등 차원에서 기회를 열어줘야 한다”라는 발언이 있었다고 소개했다.
한 친이계 의원은 이날 의총 직후 “4·27 재보선 참패 후 당 수습을 위해 전당대회가 치러지는 데 이번 전대에서 대권 주자 모두가 나와 당을 살리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친박계 서병수 의원은 “당권과 대권의 통합 논의는 시대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친이 측의 입장을 반박했다.
이에 앞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대권·당권 분리 개정 여부와 선거인단 확대 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비대위가 당 소속 의원과 원외당협위원장 등 2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설문조사 결과 대권·당권 분리 개정 여부에 대해 찬성이 50.9%, 반대가 47.3%로 조사됐다.
또한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거에 대해서도 60%가 ‘현행 유지’ 입장을 밝힌 반면 38.2%는 ‘분리 선출’을 주장했으며 선거인단 확대 규모는 ‘책임당원 14만 명 수준’이 44.7%로 가장 높았다.
한편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이날 의총에서 “늦어도 27일까지 ‘끝장 토론’을 벌이고 30일 오후 9시까지 결론이 나지 않으면 표결에 부칠 것”이라며 “정책이 아닌 정치를 갖고 너무 시끄럽고 혼란하면 국민은 피곤하게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박근혜 전 대표가 이미 현행 대권·당권 분리 규정 고수 입장을 밝힘으로써 일찌감치 입장 정리가 된 친박에 맞서 친이 측은 이 같은 규정에 대한 철폐를 주장하고 나섰다.
특히 이날 의총에선 대권·당권 분리 규정에 대한 철폐에 대해 친이 측의 공세가 거셌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두아 대변인은 “비공개 의총에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폐지해야 된다는 의견이 상당수 있었다”고 의총 분위기를 전했다.
이 대변인은 이어 “새로운 당 대표가 누가 되든 대통령 경선에 출마할 기회를 열어두어야 한다. 유력 대권 후보 중 전당대회에 나오지 않겠다는 입장을 정리한 사람도 있지만 나오겠다고 한 사람도 있으니 기회균등 차원에서 기회를 열어줘야 한다”라는 발언이 있었다고 소개했다.
한 친이계 의원은 이날 의총 직후 “4·27 재보선 참패 후 당 수습을 위해 전당대회가 치러지는 데 이번 전대에서 대권 주자 모두가 나와 당을 살리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친박계 서병수 의원은 “당권과 대권의 통합 논의는 시대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친이 측의 입장을 반박했다.
이에 앞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대권·당권 분리 개정 여부와 선거인단 확대 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비대위가 당 소속 의원과 원외당협위원장 등 2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설문조사 결과 대권·당권 분리 개정 여부에 대해 찬성이 50.9%, 반대가 47.3%로 조사됐다.
또한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거에 대해서도 60%가 ‘현행 유지’ 입장을 밝힌 반면 38.2%는 ‘분리 선출’을 주장했으며 선거인단 확대 규모는 ‘책임당원 14만 명 수준’이 44.7%로 가장 높았다.
한편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이날 의총에서 “늦어도 27일까지 ‘끝장 토론’을 벌이고 30일 오후 9시까지 결론이 나지 않으면 표결에 부칠 것”이라며 “정책이 아닌 정치를 갖고 너무 시끄럽고 혼란하면 국민은 피곤하게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