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수입재개 이후 호주산 등으로 원산지를 허위표기해 판매하다 적발된 미국산 쇠고기가 수백톤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대전지역의 위반물량비중이 서울, 경기에 이어 3위로 나타나 지역 소비자들의 불신이 깊어질 전망이다.
25일 농림수산식품부가 민주당 박주선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이후 '호주산' 등으로 허위표시돼 판매하다 적발된 미국산 쇠고기의 물량은 341.7t에 달했다.
허위표시로 적발된 위반업소 및 위반물량은 지난 2008년 114개소 16.8t에서, 2009년 233개소 80.9t, 지난해 283개소, 212.6t까지 늘었고 지난달 현재 90개소 31.4t으로 매년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이후 원산지 허위표시 위반물량비중은 서울시가 186.4t(54.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경기 26.4t(7.5%), 대전 24.5t(7.2%)의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서는 충북이 8개 업소 5.2t이 적발돼 경남에 이어 2위, 충남은 11개 업소 4.3t이 적발돼 5위에 해당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같은 기간 대전지역은 3개 업소에서 0.3t의 물량이 원산지 표기를 위반한 것으로 집계됐다. 위반건수로는 경기 123건(17.1%), 서울 100건(13.9%)의 순으로 원산지를 허위표시한 사례가 많았다.
이 같은 허위표시 판매행위가 급증한 것에 대해 박 의원은 여전히 국민들이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을 믿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박 의원은 "원산지 허위표시 등의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해 국민이 여전히 불신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정부는 보다 철저한 단속을 통해 미국산 쇠고기가 호주산 등으로 허위표시돼 판매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지역 소비자들과 한우농가들은 이같은 소식을 접한 뒤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소비자들은 쇠고기 원산지 허위표기는 국민의 건강을 고려하지 않은 파렴치한 행위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주부 이모(33·대전시 대덕구) 씨는 “가격이 저렴하더라도 미국산 쇠고기보다는 심리적 안전도가 높은 한우와 호주산 쇠고기를 구입했는데 그 중 혹시 미국산을 산 건 아니었는지 불안하다”며 “이번 사안은 이익을 위해 싼 물건을 비싸게 파는 수준이 아니라 국민 건강을 담보로 한 사기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역 한우농가들 역시 원산지 표기 위반 불똥이 한우에게까지 번지지 않을지 우려하는 모습이다.
한 축산농민은 “안그래도 비싼 가격에 소비자가 없어 농민들이 힘든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데 이 같은 소식이 알려져 혹시 한우까지 불신을 심어줄까 우려된다”며 “한우의 경우 이력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는 만큼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정부의 철저한 단속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