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복만 금산군의회 의장과 김경시 대전시 산업건설위원장 등 대전시 5개구 구의회장들이 25일 대전 유성 레전드호텔에서 금산우라늄광산 채광인가 반대 추진위를 구성하고 공동결의문 채택을 하고 있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금산 우라늄광산 개발 문제에 대해 충청권이 공동으로 대응키 위한 ‘금산군우라늄광산 채광인가 반대 추진협의회’(이하 추진위)가 구성됐다.

추진위는 25일 대전 레전드호텔에서 대전시의회와 대전 5개 구의회(서·동·중·대덕·유성구), 금산군의회, 옥천군의회 등 8개 의회가 참여한 가운데 출범식을 갖고, 금산군의회 김복만 의장과 서구의회 구우회 의장을 각각 회장과 부회장으로 선출했다.

이날 추진위는 ‘우라늄광산 개발(채광) 반대 결의문’을 통해 금산 우라늄광산 개발은 금산지역 주민들은 물론 대전 유등천과 대전천의 발원지 오염으로 150만 대전시민의 안전을 위협한다며 광산개발 절대 반대를 주장했다.

또 충남도가 불인가 처분한 우라늄광산에 대해 광산업자가 행정심판을 청구한 것은 대전·충청지역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라며 광산업자의 행정심판 철회를 촉구했다.

특히 우라늄광산 개발은 국내 채광 사례가 없어 현재까지 어떠한 과학적 검증도 되지 않았다며 주민 안전문제와 이미지 훼손으로 인한 지역경제 파괴로 개발 이익보다 수십, 수백배에 이르는 손실을 초래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추진위는 앞으로 우라늄광산 개발 반대를 위한 충청권 서명운동, 대전역 광장 대규모 반대시위, 행정심판이 열리는 지식경제부 방문 개발반대입장 표명 등 우라늄광산 개발 반대를 위한 운동을 전개할 방침이다.

김복만 회장은 “충청권 서명운동과 대전역 광장 반대시위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우라늄광산이 무산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광산 개발 저지를 위해 추진위 전원, 혹은 추진위를 대표해 회장이 삭발할 각오까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우라늄광산 개발 문제는 충남도의 채광신청 불인가 처분에 불복한 광산업자가 지식경제부에 행정소송을 제기해 현재 지식경제부 광업조정위원회의 행정심판을 남겨두고 있으며, 행정심판은 내달 말경 열릴 예정이다.

이에대해 금산과 대전·충북 옥천 등 우라늄광산 개발 신청지 인근 주민들은 환경오염에 따른 주민피해와 자연환경 파괴, 이미지 훼손으로 인한 지역경제 침체 등으로 인해 생존권이 위협 받는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 2월 22일 충청투데이 본사사옥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금산 우라늄광산 개발관련 토론회’에서 우라늄광산 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충청권이 공동 대응할 수 있는 지역협의체 구성이 제기됐었다.

김혁수 기자 kdkd67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