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맹이 없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기능지구 지정에 대해 지역 정치권이 생색내기를 중단하고 충북의 실익을 찾기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7년까지 과학벨트 조성사업에 5조 2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거점지구와 기능지구에 기초과학연구원·KAIST연합캠퍼스·중이온가속기를 건설하고 기능지구 지원프로그램에 2조 30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하지만 3개 기능지구 지원액은 3000억 원에 불과해 오송·오창, 세종시, 천안시에 각각 1000억 원이 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은 거점지구 개발 방식, 연구단 운영방식, 비즈니스환경 구축방안 등에 대한 규정은 있으나 기능지구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명시하지 않고 있다.
다만, 기능지구는 과학벨트 안의 지역으로서 거점지구와 연계해 응용연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지역이란 개념 규정만 있다.
거점지구로 지정된 대전이 누릴 혜택에 비하면 오송·오창 기능지구는 밑그림조차 없는 상태로 실속이 없다는 지적이 일기도 했다. 여기에 오송·오창은 천안시, 세종시와 연구단 유치전을 치러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장밋빛 파급 효과를 기대하기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충청권 과학벨트 공조 결과 알맹이 없는 기능지구 지정이라는 지적에도 불구 지역정치권 등에서 연일 생색내기에 나서고 있다.
충청권 공조 결과에 대한 일각의 실망감 속에 충북지역민·관·정공동대책위는 2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과학벨트 사수 보고 및 기능지구 활성화 결의대회를 갖고 자축했다.
앞서 지역정치권도 오송·오창 과학벨트 기능지구 지정을 놓고 상대당 흠집 내기에 빠져 비난을 샀다.
과학벨트 최종 입지가 확정된 후 한나라당이 과학벨트 성공 추진특별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발표하자 민주당이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 한나라당도 반박성명을 발표하는 등 지역정치권이 상대 당 헐뜯기와 함께 과학벨트의 정치 이벤트화를 시도했다. 이처럼 지역정치권 등이 기능지구 지정에 대한 생색내기에 나선 가운데 충북실리찾기론이 부상하고 있다.
충북발전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의 실리적 활용을 위한 범충청권 과학기술협의체를 만들어 충북의 실리 확보를 위한 단기·중장기적 전략을 짜야 한다”고 주장했다.지역정치권이 과학벨트 기능지구 지정에 대한 정쟁을 중단하고 충북실리찾기를 위한 역량 결집 필요성도 제기됐다.
지역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거점지구에 비하면 기능지구는 밑그림이 없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혜택이 없다”며 “기능지구 지정을 자축하기보다 불모지를 개척한다는 자세로 정치권이 초당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해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역 과학계의 한 관계자는 “천안시, 세종시와 연구단 등을 놓고 유치전을 벌여야 하지만 오송·오창이 이들 지역보다 입지가 유리하다고만 볼 수 없는 만큼 철저한 준비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