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일부터 열리는 6월 임시국회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예산안, 세종시 자족기능 확보 방안 등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예정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충청권 현안으로는 세종시 건설에 대전, 충북 지역업체가 참여하는 법안의 처리 여부도 주목된다.
6월 임시국회는 2일부터 8일까지 대정부 질문을 가질 예정인데 충청권 의원들은 대덕 과학벨트 예산안에 대해 질의를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입지가 충청권으로 결정된 만큼 국비 확보에 촉각을 세우는 분위기다.
충청권 의원들은 과학벨트 예산안의 조기 집중 편성을 촉구하는 한편 관련 상임위에서도 내년 예산안 1순위 배치에 신경을 쓰고 있다.
이와 함께 이번 국회에서 충청권 의원들은 세종시 자족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세종시가 내년 총선 등을 통해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하는 점을 감안하면 자족기능 문제는 정기국회에서도 심도 깊게 논의될 전망이다.
세종시 건설 참여 업체 확대 문제도 이번 임시국회 현안이다. 대전, 충북 지역 의원들은 세종시 건설에 지역업체 참여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상황으로 관련법 개정안이 국회 국토해양위에 제출된 상태다.
이 법안은 지난 4월 임시회에서도 전체회의까지 상정됐다가 표결처리에서 부결된 바 있어 6월 임시회 처리 결과가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충청권 현안으로는 세종시 건설에 대전, 충북 지역업체가 참여하는 법안의 처리 여부도 주목된다.
6월 임시국회는 2일부터 8일까지 대정부 질문을 가질 예정인데 충청권 의원들은 대덕 과학벨트 예산안에 대해 질의를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입지가 충청권으로 결정된 만큼 국비 확보에 촉각을 세우는 분위기다.
충청권 의원들은 과학벨트 예산안의 조기 집중 편성을 촉구하는 한편 관련 상임위에서도 내년 예산안 1순위 배치에 신경을 쓰고 있다.
이와 함께 이번 국회에서 충청권 의원들은 세종시 자족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세종시가 내년 총선 등을 통해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하는 점을 감안하면 자족기능 문제는 정기국회에서도 심도 깊게 논의될 전망이다.
세종시 건설 참여 업체 확대 문제도 이번 임시국회 현안이다. 대전, 충북 지역 의원들은 세종시 건설에 지역업체 참여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상황으로 관련법 개정안이 국회 국토해양위에 제출된 상태다.
이 법안은 지난 4월 임시회에서도 전체회의까지 상정됐다가 표결처리에서 부결된 바 있어 6월 임시회 처리 결과가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