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가정에서 투병 중인 말기암 환자의 전문·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전국 최초로 ‘가정 호스피스 완화의료센터’를 운영한다.
시는 23일 시청에서 장시성 시 복지여성국장을 비롯해 임승평 충남대병원 대전지역암센터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가정 호스피스 완화의료센터’ 운영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으로 다음 달부터 양 기관은 의사 및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등으로 구성된 팀을 말기암 환자 가정에 장기적으로 투입해 통증관리 등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는 수액요법, 욕창, 결장루 등의 관리와 함께 심리상담, 영적상담, 발마사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임종을 앞둔 환자가정의 좋은 죽음(Well-dying) 등 사후관리도 제공한다.
등록 관리를 희망하는 말기 암환자는 본인 또는 가족이 시 가정 호스피스센터(042-280-8540)로 신청하면 되고, 단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 대상자는 전액 무료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마련됐다”며 “전국에서 처음으로 가정 호스피스 완화의료센터를 설치하는 만큼 내실 있는 운영을 통해 말기암 환자 관리체계 구축 모범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시는 23일 시청에서 장시성 시 복지여성국장을 비롯해 임승평 충남대병원 대전지역암센터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가정 호스피스 완화의료센터’ 운영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으로 다음 달부터 양 기관은 의사 및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등으로 구성된 팀을 말기암 환자 가정에 장기적으로 투입해 통증관리 등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는 수액요법, 욕창, 결장루 등의 관리와 함께 심리상담, 영적상담, 발마사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임종을 앞둔 환자가정의 좋은 죽음(Well-dying) 등 사후관리도 제공한다.
등록 관리를 희망하는 말기 암환자는 본인 또는 가족이 시 가정 호스피스센터(042-280-8540)로 신청하면 되고, 단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 대상자는 전액 무료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마련됐다”며 “전국에서 처음으로 가정 호스피스 완화의료센터를 설치하는 만큼 내실 있는 운영을 통해 말기암 환자 관리체계 구축 모범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