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가 외투지역 해제를 추진하기로 하면서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이하 오송첨복단지)의 성공적 조성 등 오송바이오밸리 구축을 위한 외자 유치에 비상이 걸렸다.

지식경제부는 23일 배포한 자료에서 "충북 청원군 오송지역 외국인투자지역(이하 외투지역)과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이중지원은 충북도가 지난 2009년 6월 첨복단지 신청 당시 외투지역 총괄부서인 지경부와 사전협의 없이 신청함으로써 중복지정이 초래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경부는 외투지역 지정권자인 충북도와 협의해 오송지역 외투지역을 전부 해제키로 결정했으며, 이미 집행된 부지매입비(451억여 원)는 환수키로 했다.

지경부의 오송첨복단지 외투지역 해제 결정에 따라 투자의향을 보였던 외국 제조업체 입주가 어렵게 되는 등 성공적 단지 조성에 차질을 빚게 됐다. 도는 오송첨복단지 외투지역 해제 대안으로 새로운 지역 지정을 검토하고 있지만, 지경부가 이미 투자된 예산을 환수키로 함에 따라 재원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여기에 도가 지경부에 지정 신청한 충북경제자유구역도 오송 제외 가능성이 제기돼 세계적 바이오메카 육성을 어둡게 하고 있다.

이승훈 전 충북도정무부지사는 충북경제자유구역과 관련해 “청주국제공항과 충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면, 오송, 증평은 부정적 시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오송 제외 가능성은 충북도와 민주당 일각에서 부인하고 있지만, 꾸준히 제기되고 있어 지경부의 최종 결과 발표가 주목된다.

도가 오송을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 구역에 포함시킨 것은 우수한 해외 연구기관, 병원 등을 유치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구와 경쟁 체제에 있는 오송첨복단지는 우수한 국내외 인적자원 확보와 연구시설, 병원 유치가 성공에 있어 최대 관건이다. 특히 외국의 우수한 인적 자원과 시설 유치를 위해서는 외투지역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 도는 오랫동안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오송첨복단지 내 외투지역 해제에 이어 충북경제자유구역 포함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까지 제기되면서 오송바이오밸리 구축을 통한 백년먹을거리 창출이라는 충북도의 야심 찬 프로젝트 추진이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보건의료계의 한 관계자는 “지경부가 오송첨복단지 내 외투지역을 해제하고 투자된 예산을 환수 조치할 경우 충북으로서는 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며 “경제자유구역 포함 여부도 긍정과 부정이 엇갈리고 있는 만큼 지역에서 철저히 대처해 반드시 지정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