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이르면 이번 주 중 청와대에서 회동을 가질 예정이어서 정치권의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회동은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최근 유럽 3개국을 방문한 박 전 대표가 방문 결과를 보고하기 위해 마련되는 자리지만 여권 쇄신에 대한 의견도 교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난 4·27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이 참패한 후 여권 쇄신바람이 강하게 일고 있는 상황에서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이번 회동을 계기로 여권 쇄신 방안과 함께 박 전 대표의 역할론 등에 대해 논의가 집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나라당 한 관계자는 22일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최근 여권 상황을 고려할 때 여권 쇄신과 함께 당 수습 방안 등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당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는 박 전 대표 역할론에 대해서도 조심스럽지만 일정 부문 논의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당 수습방안과 관련 이 대통령이 최근 당 지도부 초청 조찬간담회에서 언급한 ‘계파정치 타파’에 대해 의견 조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 역시 당내 계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있고, 최근 원내대표 선출 과정에서 친이(친이명박)계 분열과 소장파와 친박(친박근혜)계 연합이 이뤄지는 등 계파 해소 움직임이 있는 만큼 이를 놓고 양자 간 공감대가 형성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와 함께 당 수습 방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박 전 대표의 역할론도 자연스럽게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박 전 대표는 이미 지난 4·27 재보선 패배 후 “책임을 통감한다”며 당 안팎의 역할론 제기에 화답을 한 만큼 이번 회동을 통해서 박 전 대표의 활동폭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단지 박 전 대표가 현 정부에 부담을 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만큼 이 같은 기조 내에서 박 전 대표 역할 영역에 대해 의견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