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R&D특구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지정됨에 따라 원촌동 하수처리장 이전 사업이 조기에 가시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22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 원촌동 하수처리장 및 오정동 위생처리장 이전 사업은 민선5기 주요 약속사업으로 현재 재원조달방안 및 투자계획을 수립, 추진 중이다.
특히 대전의 중장기 발전과 함께 과학벨트 거점지구 선정으로 지역 내 산업용지 및 주거용지 부족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현 하수처리장·위생처리장 부지의 활용방안이 시급한 시정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시는 이를 위해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변경 승인신청 및 대덕특구 개발사업 확장계획에 반영키로 했으며, 내년부터는 GB해제(도시관리계획) 입안 및 해제 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하수·위생처리장을 대덕특구 3단계 개발지역이자 갑천 하류지역인 금탄·대동지구에 지하화 시설로 이전하는 안을 유력한 대안으로 검토 중에 있으며, 현 부지는 산업용지 및 정주시설로 매각, 사업비를 충당할 계획이다. 그동안 시는 천문학적인 사업비를 마련할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하수·위생처리장 이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실제 이전에 필요한 1조여 원 등의 사업비를 지방재정으로 감당하기 어렵고, 하수처리장 이전 사업에 대한 국비지원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민자 유치 역시 현실적인 난관에 봉착, 그동안 사업추진이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과학벨트 거점지구 선정으로 대동·금탄지구 등 대덕특구 3단계 개발 예정지에 대한 사업추진에 가속도가 붙고, '원인자 부담금제도'를 활용할 경우 하수·위생처리장 이전 사업을 조기에 착수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엇보다 최신 공법으로 지하화 시설로 신축할 경우 원촌동 하수처리장 부지를 산업·주거용지 등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공간으로 재창조할 수 있고, 갑천과 금강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여기에 과학벨트 조성사업이 국책사업으로 추진됨에 따라 하수처리장 이전·건립에 필요한 비용 중 일부는 원인자 부담금제를 활용, 국비지원을 받을 수 있어 사업추진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한편 대전시는 대덕특구 2단계 개발사업지인 신동·둔곡지구가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됨에 따라 현재 수립 중인 ‘2030 대전도시기본계획’에 변화된 여건 등을 반영해 관련 기업과 지원기능, 인구유입 등을 면밀히 검토, 추가로 필요한 용지공급과 도시계획 결정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22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 원촌동 하수처리장 및 오정동 위생처리장 이전 사업은 민선5기 주요 약속사업으로 현재 재원조달방안 및 투자계획을 수립, 추진 중이다.
특히 대전의 중장기 발전과 함께 과학벨트 거점지구 선정으로 지역 내 산업용지 및 주거용지 부족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현 하수처리장·위생처리장 부지의 활용방안이 시급한 시정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시는 이를 위해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변경 승인신청 및 대덕특구 개발사업 확장계획에 반영키로 했으며, 내년부터는 GB해제(도시관리계획) 입안 및 해제 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하수·위생처리장을 대덕특구 3단계 개발지역이자 갑천 하류지역인 금탄·대동지구에 지하화 시설로 이전하는 안을 유력한 대안으로 검토 중에 있으며, 현 부지는 산업용지 및 정주시설로 매각, 사업비를 충당할 계획이다. 그동안 시는 천문학적인 사업비를 마련할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하수·위생처리장 이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실제 이전에 필요한 1조여 원 등의 사업비를 지방재정으로 감당하기 어렵고, 하수처리장 이전 사업에 대한 국비지원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민자 유치 역시 현실적인 난관에 봉착, 그동안 사업추진이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과학벨트 거점지구 선정으로 대동·금탄지구 등 대덕특구 3단계 개발 예정지에 대한 사업추진에 가속도가 붙고, '원인자 부담금제도'를 활용할 경우 하수·위생처리장 이전 사업을 조기에 착수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엇보다 최신 공법으로 지하화 시설로 신축할 경우 원촌동 하수처리장 부지를 산업·주거용지 등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공간으로 재창조할 수 있고, 갑천과 금강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여기에 과학벨트 조성사업이 국책사업으로 추진됨에 따라 하수처리장 이전·건립에 필요한 비용 중 일부는 원인자 부담금제를 활용, 국비지원을 받을 수 있어 사업추진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한편 대전시는 대덕특구 2단계 개발사업지인 신동·둔곡지구가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됨에 따라 현재 수립 중인 ‘2030 대전도시기본계획’에 변화된 여건 등을 반영해 관련 기업과 지원기능, 인구유입 등을 면밀히 검토, 추가로 필요한 용지공급과 도시계획 결정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