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충청권 공조에 몰입하는 사이 지역에 유치해야 할 국책기관이 흔들릴 가능성이 제기돼 ‘지역 몫 지키기’가 시급해졌다.

지역정가 등에서 국립암센터 분원 등이 신공항에 이어 과학벨트로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영남권을 달래기 대상이 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지역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보건복지부가 충북 오송과 대구 신서지구 등을 대상으로 국립암센터 분원 설치 지역과 관련한 용역을 시행 중에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국립암센터는 충북도가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지난 2008년부터 지역 유치를 적극 추진해왔었다. 국립암센터 오송 유치 추진은 부지확보 문제 등에 봉착해 지지부진한 상태에 놓였으나 지난해부터 분원 유치가 재개됐다.

하지만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공조에 몰입하는 사이에 오송첨복단지와 경쟁 관계인 대구 신서지구의 국립암센터 분원 설치 가능성이 나오면서 충북이 지역 몫 지키기에 바빠졌다.

국립노화연구원과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 유치도 비슷한 상황에 놓였다.

오송에 건립될 국립노화연구원과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가 신공항 백지화로 민심이 들끓고 있는 부산, 대구·경북 달래기 대상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부산과 대구는 그동안 국립노화연구원과 줄기세포연구센터 유치에 적극 나서왔다. 이들 국가연구시설은 지난 2007년 보건복지부가 6대 보건의료 국책기관이 이전한 오송생명과학단지 건립이 확정, 부지까지 마련했다.

그러나 부산이 국립노화연구원 유치에 적극 나서면서 오송 건립이 지연되고 있다. 부산은 지역 출신 국회의원이 발의한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법 일부 개정 법률안'(국립노화연구원법)이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 소위를 통과되면서 한층 고무됐으나, 아직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했다.

줄기세포재생의학연구센터 유치는 대구가 나서고 있다. 대구는 정부에 대구첨단의료복합단지 내에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 건립을 요구하고 있다.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는 충북도가 정부에 오송 건립을 위한 설계용역비 8억 원을 내년 예산에 반영해줄 것을 건의하는 등 다른 지역의 유치 움직임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국립암센터는 물론 오송 건립이 확정된 국립노화연구원,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는 충북이 추진하고 있는 세계적 바이오메카 육성에 반드시 필요한 보건의료 연구시설이다. 따라서 부산과 첨복단지 조성 경쟁을 벌이고 있는 대구로 빼앗길 경우 오송바이오밸리 충북 구상에 막대한 차질이 예상된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신공항과 과학벨트로 영남권의 민심이 나빠질 대로 나빠져 정부가 어떤 형태로든 민심 달래기에 나설 것”이라며 “충북이 충청권 공조에 동참한 결과물로 핵심시설 없는 과학벨트 기능지구 유치에 신경을 쓰는 사이 정작 지역에 들어설 중요한 국책기관이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