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유성구가 과학벨트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주거·문화·예술 인프라 구축 등 정주시설 확충에 나선다.
허태정 대전 유성구청장은 18일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선정과 관련 “먼 길을 돌아왔지만 결국 역사의 수레바퀴는 제대로 돌아왔다”며 “대덕특구를 황무지에서 건설해 냈듯 잘 준비해 계획대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허 청장은 “과학벨트가 지역에 왔지만 아직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다”면서 “기초과학연구원의 기능과 역할을 명문화시켜야 하고, 정주시설 조성을 위한 관련 예산이 3000여억 원에 불과해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허 청장은 “유성구에 과학벨트의 거점지구가 들어서고, 인근 세종시의 배후도시로서의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정주시설 및 문화·예술 관련 인프라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세종시와 과학벨트 등의 수요에 대비해 대규모 주택사업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를 위해 도안신도시 내 미분양·미개발 용지를 개발하고, 노은지구와 구즉·관평동 일대를 사업예정지로 보고, 시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안과 관련해서는 “현재 시의 계획안을 보면 진잠~유성네거리까지 가는 1안과 진잠~정부청사까지 잇는 2안 등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시민 이용편의 및 교통체계의 연결성 측면에서 1안인 유성네거리까지 잇는 노선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진잠~유성네거리까지를 잇는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노선은 28.6㎞로 대동천~동부네거리(3㎞) 구간은 지하화를, 나머지는 고가로 건설되며 정부청사~유성네거리(6.7㎞)를 연장할 경우 6700억 원의 예산이 추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다.
허 청장은 “과학벨트를 비롯 정부부처의 이전이 완료되는 오는 2014년 이후부터 유성~세종시 간 유동인구가 급증할 것에 대비해야 하고, 유성구의 폭발적인 인구 증가세를 고려하면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노선은 유성네거리까지 연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도시철도 사업은 결국 예산 문제가 걸려있는 만큼 정부청사에서 엑스포~유성구청까지는 갑천 등 조망권도 좋고 주거 밀집지역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 고가(高架) 등 지상화 방안으로 추진해 건설비용을 낮추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고 덧붙였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