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충남·북 3개 시·도가 어제 과학벨트와 연계한 충청권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염홍철 대전시장과 안희정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는 태스크포스 운영, 예산확대 및 협력강화를 위한 양해각서 체결 방침에도 합의했다. 과학벨트 '거점지구'인 대전과 충남·북 '기능지구'가 상생발전 공조체제 강화에 나선 건 당연하다.
과학벨트 사업은 이제야 기초과학의 진흥을 통한 국가 신성장 동력 창출의 원천이라는 원대한 목표를 향한 첫 걸음을 디딘 것에 불과하다. 핵심시설이 들어 설 자리와 이를 지원하는 기능지구 등의 골격만 결정됐을 뿐이다. 어떻게 과학벨트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것인가 구체적인 설계도를 그리는 단계다. 올해 말까지 과학벨트 기본계획 수립·심의·확정에 이어 과학벨트의 거점-기능지구를 정식으로 지정고시하는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투입 예산을 놓고도 논란이 분분하다. 전체 예산 5조 2000억원 가운데 대전을 비롯한 거점-기능지구의 기초과학연구원·KAIST연합캠퍼스·중이온가속기 등에 2조 3000억원이 지원되는 반면, 경북권 DUP 캠퍼스와 광주 GIST 캠퍼스에는 각각 1조5000억원, 6000억원이 투입된다. 예산 배분의 근거는 물론 적정성에 이르기까지 따져봐야 할 것도 많다. 부지 매입비는 전액 국비부담으로 해야 옳다. 기능지구 지원액 3000억원 규모에 대한 것도 마찬가지다. 막대한 예산을 중장기별로 차질 없이 확보하려는 정부 의지 못지않게 중요한 요인은 이를 관철시키려는 충청권의 역량이다.
충청권이 거점지구와 기능지구와의 관계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키로 한 사실에 주목하는 것도 바로 그러한 연유에서다. 그게 세계적인 과학벨트 성장 방안과 연계된다면 권장해야 할 일이다. 그 결과를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 반영시키지 못할 이유도 없다. 충청권 3개 시·도가 지난날 합동으로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의 당위성을 입증해 보였듯이, 정부 설득을 위한 자료 개발에 본격 나서야 할 시점이다.
충청의 미래는 광역경제권의 기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미 세종시 건설 과정에서도 충청권의 긴밀한 공조관계를 경험한 바 있다. 과학벨트를 통해서도 신성장 상생 모델을 창출해야 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충청권 경제통합 흐름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결코 우연한 현상이 아니다.
과학벨트 사업은 이제야 기초과학의 진흥을 통한 국가 신성장 동력 창출의 원천이라는 원대한 목표를 향한 첫 걸음을 디딘 것에 불과하다. 핵심시설이 들어 설 자리와 이를 지원하는 기능지구 등의 골격만 결정됐을 뿐이다. 어떻게 과학벨트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것인가 구체적인 설계도를 그리는 단계다. 올해 말까지 과학벨트 기본계획 수립·심의·확정에 이어 과학벨트의 거점-기능지구를 정식으로 지정고시하는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투입 예산을 놓고도 논란이 분분하다. 전체 예산 5조 2000억원 가운데 대전을 비롯한 거점-기능지구의 기초과학연구원·KAIST연합캠퍼스·중이온가속기 등에 2조 3000억원이 지원되는 반면, 경북권 DUP 캠퍼스와 광주 GIST 캠퍼스에는 각각 1조5000억원, 6000억원이 투입된다. 예산 배분의 근거는 물론 적정성에 이르기까지 따져봐야 할 것도 많다. 부지 매입비는 전액 국비부담으로 해야 옳다. 기능지구 지원액 3000억원 규모에 대한 것도 마찬가지다. 막대한 예산을 중장기별로 차질 없이 확보하려는 정부 의지 못지않게 중요한 요인은 이를 관철시키려는 충청권의 역량이다.
충청권이 거점지구와 기능지구와의 관계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키로 한 사실에 주목하는 것도 바로 그러한 연유에서다. 그게 세계적인 과학벨트 성장 방안과 연계된다면 권장해야 할 일이다. 그 결과를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 반영시키지 못할 이유도 없다. 충청권 3개 시·도가 지난날 합동으로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의 당위성을 입증해 보였듯이, 정부 설득을 위한 자료 개발에 본격 나서야 할 시점이다.
충청의 미래는 광역경제권의 기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미 세종시 건설 과정에서도 충청권의 긴밀한 공조관계를 경험한 바 있다. 과학벨트를 통해서도 신성장 상생 모델을 창출해야 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충청권 경제통합 흐름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결코 우연한 현상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