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내 신동·둔곡 지구가 최종 선정된 가운데 17일 대전시 유성구 신동 마을주민들이 삼삼오오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정재훈기자 jprime@cctoday.co.kr  
 

대전시 유성구 신동지구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된 가운데 벌써부터 보상을 노린 외지인들의 투기 움직임이 포착돼 우려를 낳고 있다.

신동지구는 총 면적 170만㎡규모로 국유지 10%, 시·구유지 4%, 사유지 86% 등으로 구성돼 있다.

시는 당초 2009년 이 일대를 대덕특구 2단계 개발예정지로 지정해 개발계획을 추진했고, 첨단의료복합단지 후보지로 선정, 국책사업 유치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하지만 첨복단지 유치에 실패한 이후 대덕특구 2단계 개발을 위해 그린벨트 해제를 추진 중에 있었으며, 다음달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그린벨트 해제를 정식 상정할 계획이다.

문제는 과학벨트 거점지구 조성과 이에 따른 개발 기대감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에서 보상을 노린 일부 외지인의 투기동향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과학벨트 거점지구 확정발표 이후, 마을에 거주하지 않은 한 외지인은 지목상 논에 해당하는 지역에 배나무와 매실나무 등 유실수를 식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강석산 신동1통장은 “이미 3~4년 전, 각종 개발사업 대상·후보지로 지정되면서 개발에 따른 기대감과 보상을 노린 외부인들의 전입이 성행했다”면서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자, 갑자기 나무를 심는 등 보상을 노린 나무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우려감이 크다”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신동마을 상당수의 전답에는 못자리 대신 배나무 등 유실수가 자리 잡고 있는 것을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다.

때문에 신동에서 나고 자란 원주민들은 단순히 투기목적의 외지인들로 인해 적잖은 피해를 보고 있다고 호소했다.

주민 A(39) 씨는 “마을 원주민과 외지인의 비율이 6대 4 정도 될 것”이라며 “주민총회나 마을공동사업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한 번도 본적이 없고 얼굴도 모르는 사람이 상당수에 이른다”고 귀띔했다.

A씨는 또 “최초 대덕특구 2단계 개발예정지로 지정된 이후 외지인들의 전입이 부쩍 늘었다”면서 “실제 거주하지 않고 주소 만 전입한 사람도 많기 때문에 마을전체의 단합과 공동체 의식을 훼손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최근 원주민을 가장한 외지인, 부동산업자들의 (신동지구 관련) 문의전화로 업무에 상당한 지장을 받고 있다”며 “시는 향후 국토해양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등 유관기관과 협조해 차질없는 과학벨트 조성사업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